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한이 소한 집에 가 얼어죽는다’는 속담의 진실은?
-최근 10년간은 대한ㆍ소한 추위 우열없어
-다만 겨울철 가장 추운날은 소한 근처로 앞당겨져


[헤럴드경제=이지웅 기자]‘대한’(大寒)은 24절기 중 마지막 절기로 ‘큰 추위’라는 뜻이다.

이름만 보자면 대한에 ‘소한’(小寒)보다 큰 추위가 올 것 같지만, 대한인 20일 전국 낮 기온은 2∼10도까지 오른다.

앞서 소한인 지난 6일에는 서울의 최저기온이 영하 7.6도를 기록하고, 강한 바람으로 체감기온은 더 떨어지는 등 ‘반짝 한파’가 기승을 부렸다.

[헤럴드경제DB사진]

‘대한이 소한 집에 가 얼어죽는다. 소한 얼음 대한에 녹는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는 등의 속담처럼 올해도 ‘추운 소한’에 이어 ‘포근한 대한’이 찾아온 셈이다.

하지만 이 같은 공식이 항상 들어맞는 것은 아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전국적인 기상관측이 시작된 1973년부터 작년까지 소한과 대한의 평균기온을 비교했을 때 소한이 대한보다 기온이 높았던 해나 그 반대되는 해는 각각 21번으로 똑같았다.

일 최저기온을 비교해도 마찬가지였다.

한파의 강도를 놓고 봐도 큰 차이는 없었다.

일 최저기온이 영하 10도 아래로 떨어진 날은 대한 7번, 소한 8번이었다.

대한에 가장 추웠던 때는 영하 14.2도를 기록한 1976년, 소한에 가장 추웠던 때는 영하 16.9도를 기록한 1986년이었다.

절기상으로만 따지면 겨울철 추위는 입동(立冬)에서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 대한(大寒)으로 갈수록 추워진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24절기는 중국 화베이(華北) 지방의 기후를 토대로 만들어진 것이라 우리나라의 계절 변화를 정확히 반영하지는 못한다.

기상청 관계자는 “실제로는 비슷한 강도의 추위라도 체감하는 것은 상대적이므로 한파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소한 즈음에 겪는 추위가 더 춥게 느낄 수 있다”며 “대한에는 이미 추위에 어느 정도 적응한 때이기 때문에 그 정도를 체감하지 못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겨울이 짧아지면서 ‘가장 추운 날’은 대한 무렵에서 소한 무렵으로 앞당겨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건국대 기후연구소 문자연 연구교수 등이 최근 발표한 논문을 보면 겨울철 일 평균ㆍ최고ㆍ최저기온이 가장 낮았던 날은 1973년부터 2002년까지 30년간은 1월 23∼25일이었지만 최근 10년(2003∼2012년) 동안에는 1월 7일로 앞당겨졌다.

/plat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