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朴의 통일준비 키워드…이산가족과 北호응 여건 마련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박근혜 대통령은 19일 외교ㆍ통일ㆍ국방부ㆍ국가보훈처의 ‘통일준비’를 주제로 한 업무보고에서 “조속히 남북간에 통일준비를 위한 실질적인 대화가 시작돼야 한다”며 “어떤 형식의 대화를 하던 국민의 마음을 모아서 협상을 해 나가고 북한이 호응해 올 수 있는 여건 마련에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해 눈길을 끈다.

‘핑퐁게임’을 하듯 남북간 간헐적 대화제의가 오갔지만 이렇다 할 결과물이 도출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나서 북측의 호응 유도 방안을 주문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날 광복 70주년 남북 공동위원회 구성 제안 등 다양한 방법을 추진할 계획임을 밝혀 북측이 어떻게 화답할지 주목된다.
▶이산가족 상봉, 기본권 보장 차원으로 접근 강조=박 대통령은 이날 이산가족 상봉 문제 해결을 특히 강조했다. 그는 “무엇보다 중요한 건 고령의 남북 이산가족들의 간절한 염원부터 풀어드리는 것”이라며 “정치와 이념을 떠나 기본권 보장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해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동ㆍ서독도 통일 이전 이산가족 문제만큼은 가족권 보장의 문제로 접근해 가족을 만나고 싶어하는 주민들은 거의 모두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었다고 박 대통령은 지적했다. 남북간 대화가 ‘재개조짐→긴장고조로 인한 공전’의 패턴이 고착화하는 듯한 양상 속에서 이산가족 문제부터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 걸로 분석된다.

▶통일준비 위한 남북 실질대화 시작 주문=박 대통령은 아울러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불러 세울 여건 마련을 촉구했다. 그는 “어떤 형식의 대화를 하던 국민의 마음을 모아서 협상을 해 나가고 북한이 호응해 올 수 있는 여건 마련에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최근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신년사를 통해 남북정상회담 개최 용의도 있음을 시사해 세간의 관심은 이에 쏠려 있지만, 박 대통령은 대화의 급(級)이나 형식보단 ‘실질’이 더 중요하다고 보고 있는 걸로 읽힌다.

이는 박근혜 정부가 북한과의 교류협력의 판을 깔기 위해 다양한 제안을 한 것과 맥을 같이 한다. 박 대통령은 이날 업무보고에서 “남북한 주민의 삶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교류협력과 대화를 추진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구체적으로는 산림녹화, 환경보전 등을 언급했다. 단순히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남북한 주민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사업에 관해 양측이 손을 잡게 되면 대화할 여지가 커지고 이는 자연스럽게 동질성 회복으로 연결된다는 판단이다.

박 대통령은 “통일은 크게 보면 민족적 과제이지만 동시에 남북한 주민들 개개인의 삶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그렇기 때문에 남북교류협력도 이런 목적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벤트성 사업을 통한 양적확대에 만족하기보다 실질적으로 남북 주민들의 행복에 기여할 수 있는 남북교류협력의 질적 향상을 이루도록 힘써야 할 것”이라고도 했다.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