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4·29보선 D-100…5대 관전포인트
與공천·野지형 등 선거결과 관심 집중
지난해 말 통합진보당 해산으로 실시하게 된 4ㆍ29 보궐선거가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서울 관악구을, 성남시 중원구, 광주 서구을 등 3개 지역구 의원을 뽑는 ‘미니급’ 선거이지만, 정치적인 의미는 ‘슈퍼급‘이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여야 정치지형에 영향을 미출 수밖에 있는 이번 보궐선거의 ‘5대 관전 포인트’를 짚어본다.

먼저 19일부터 후보자 공천 접수를 시작한 새누리당의 공천 과정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김 대표가 지난해 7ㆍ4 전당대회에서 “(당대표) 공천권을 내려 놓겠다”며 약속한 ‘상향식 공천’이 제대로 지켜질지 관심사다. 김 대표 체제 이후 첫 선거는 지난해 7ㆍ30 재보선이었지만, 김 대표의 공천 스타일은 이번 보궐선거에서 처음으로 드러날 전망이다.

선거 과정도 중요하지만 역시 결과가 하이라이트다. 뚜껑을 열어보기 전에 결과를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통진당 의원들의 지역구였다는 점에서 야권 강세를 점칠 수 있다. 특히 서울 관악구을과 광주 서구을의 경우 여당 후보가 한 번도 당선된 적이 없는 곳이다. 야권 후보가 난립하면서 새누리당이 ‘어부지리’를 얻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선거 결과는 여당에게는 친박-비박계 의원 사이의 계파갈등을 부추기는 재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는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중간 평가의 의미인 동시에 내년 총선이라는 ‘본게임’을 치러야 하는 김 대표 체제의 ‘예비전’ 성격이 강하다. 승리하면 김 대표체제의 순항이 약속되지만, 전패할 경우 계파 갈등의 중요한 재료로 활용될 수 있다.

야당에게도 이번 선거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2ㆍ8 전당대회를 통해 새롭게 구성되는 지도부의 첫 선거인 동시에 ‘국민모임’ 등 야권 정계 개편이 시작되는 시점에 펼쳐지는 선거라는 점에서 그렇다. 정동영 전 의원이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하고 참여한 국민모임이 이번 보궐선거에서 당선자까지 낼 경우 야권 정개개편의 한 축이 될 수 있다.

통진당의 재기 여부도 관심사다. 지난해 헌법재판소로부터 정당 해산 선고를 받고 의원직에서 박탈당한 전 통진당 소속 의원의 경우 이들 지역에서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박도제 기자/pdj2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