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보훈처, 안중근 의사 유해 지하탐지 조사 추진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과 관련된 새로운 증언이 나옴에 따라 올해중으로 지하탐지 작업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19일 보훈처 업무보고에 대해 설명하는 과정에서 “안중근 의사의 유해가 옛 뤼순 감옥 묘지에 매장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증언을 확인하기 위해 이 지역에 지표투과레이더(GPR) 조사를 할 수 있도록 중국측에 요청한 상태”라고 말했다.

안중근 의사 유해와 관련해서는 남북이 지난 2005년 장관급회담에서 공동조사에 합의한 바 있으며 한 일본인의 증언에 따라 2008년 한국과 중국이 공동 발굴을 진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안중근 의사의 유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어 지난 2013년 어릴 적 학교 선생님과 함께 옛 뤼순 감옥 묘지를 찾아 참배한 적이 있다는 증언이 나오면서 보훈처를 중심으로 재발굴 작업에 들어가게 됐다.

옛 뤼순 감옥 묘지 터에 대해서는 그동안 유해 발굴 조사나 탐지작업이 이뤄지지 않았고 뤼순 감옥 건물 뒤편에서만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보훈처는 해당 지역이 러시아 조차지역이었다는 점을 감안해 러시아측 사료도 적극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보훈처는 또 광복 7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중국 상하이 임시정부 청사와 매헌기념관, 충칭의 임시정부 청사 재개관, 한국광복군총사령부 건물 원형 보존 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훈처는 이와 함께 국가를 위한 공헌에 부응하는 예우 강화 차원에서 국가유공자의 생활보장을 위해 보상금을 사회지표보다 높은 수준으로 인상하고 특별한 희생에 대해서는 추가 보상하기로 했다.

특히 명예로운 보훈업무를 통한 애국심 함양 차원에서 올해 처음으로 호국영웅 알리기 프로젝트를 시행하기로 했다.

보훈처 관계자는 “각 지역과 학교 출신의 자랑스런 호국인물에 대한 자부심을 생활 속에서 되새길 수 있는 계기를 만들자는 것”이라며 “지자체에서 둘레길이나 공원 등 근린시설을 조성할 때 호국영웅의 이름을 붙이고 지역 호국영웅 조형물 건립 공간 등을 확보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미 군사적 보장장치의 중요성과 북한의 통일전선 추진 등과 관련한 나라사랑교육을 통해 애국심을 함양하겠다고 밝혔다.

보훈처 관계자는 반공교육 변질 우려에 대해 “보훈처 독자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통일부와 통일준비위원회 등과 함께 진행할 것”이라며 “통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한다는 것이지 이념을 주입하다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