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창업 3~7년‘죽음의 계곡’건널 다리 놓는다
중기청, 디자인·R&D 등 프로그램 운영
정부가 올해 대학교수ㆍ연구원 등 고급 기술인력의 창업을 촉진하고, 창업기를 지나 도약기 기업에 대해서는 패키지 지원에 나선다.

2013년 이후 창업기업 수는 급증했지만 생존률이 낮고, 중소ㆍ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핵심역량이 미흡하다는 지적에 따른것이다.

15일 중소기업청의 대통령 업무보고에 따르면, 올해 창업의 질 제고와 동시 창업기업의 성장률 제고에 정책이 집중된다.

창업 이후 3∼7년차 창업도약기의 기업이 흔히 맞닥뜨리는 ‘죽음의 계곡’을 건너야 성장기에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창업 후 5년 생존율이 30%에 불과하고, 정부 지원도 그동안 업력 3년 미만의 창업초기 기업에 편중(72.7%)돼 왔던 게 사실이다.

우선 창업 준비단계에서 구현한 초기제품을 시장수요에 맞게 고도화하도록, 창업기업 R&D투자를 올해 총 1600억원으로 200억 늘린다. 창업 7년 이내 기업을 대상으로, 1년간 2억원까지 지원한다.

이와 함께 ‘창업도약 패키지 프로그램’을 1100억원 규모로 신설한다. 사업화 단계의 기업에 디자인 및 금형ㆍR&Dㆍ양산을 위한 자금을 일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총 1조4000억원에 이른 정책자금은 창업기업의 도약을 위해 필요한 시설ㆍ운전자금으로 3% 안팎의 금리에 공급한다. 이는 창업기업지원자금 1조3000억원과 투융자 복합금융 1000억원으로 이뤄졌다.

중소기업청은 전국 대학ㆍ연구기관 등에 위치한 282개 창업보육센터를 통해, 안정적 사업공간을 제공하고시험/연구장비도 공동 활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벤처펀드를 2조원 규모로 확충해 창업기업에 신속한 투자를 유도한다. 이는 모태펀드 1조7000억원과 민간투자 3000억원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창업ㆍ성장ㆍ회수ㆍ재투자에 이르는 정책 목적별펀드를 확충해 맞춤형 투자 환경을 구축하는 한편, ‘성실실패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실패 기업인의 재도전을 지원한다.

판로 확보를 위해선 방송ㆍ인터넷ㆍ모바일ㆍ프라인을 연계한 통합 유통플랫폼을 6월 중 개통해 혁신제품의 판로를 확보할 방침이다.

또한 중소기업→중견기업→글로벌 전문기업 성장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개선하고, ‘한국형 히든챔피언’을 2017년까지 100개 육성하기로 했다.

조문술 기자/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