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극지연구소, 세계 최초 겨울철 북극해 현장 관측 나서
[헤럴드경제=이홍석(인천) 기자]극지연구소(소장 김예동)는 1월부터 6월까지 노르웨이 극지연구소(이하 NPI)와 공동으로 대서양 북극해 현장관측 프로그램을 수행한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NPI 연구선 란스(Lance)호를 올 겨울 생성된 단년생 해빙에 결빙 고정 후 함께 표류하면서 그 생성부터 소멸까지의 전 과정을 집중 모니터링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한겨울에 시작되는 단년생 해빙에 대한 수 개월 간의 장기 집중 관측은 세계 최초로 시도되는 것이다.

극지연구소 대기-해빙 관측 연구팀은 1월초 1차 참가대원을 파견하고 2월중 교체 대원을 투입한다.

연구팀은 주로 해빙과 그 위의 대기에 대한 정기적 집중 관측을 수행할 예정이고, 해빙이 갈라진 곳에서 급증하는 에너지 교환에 대한 관측을 계획하고 있다.

겨울철 북극해 관측은 최근 북극해빙의 감소가 북극의 찬 공기를 몰고 와 겨울철 극심한 한파와 같은 재해기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는 북극해빙의 예측 결과가 한파와 같은 재해기상의 예측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극지연구소는 북극해빙 연구를 통한 재해기상 예측성 향상을 위해 노르웨이와 손을 잡고 이번 탐사에 나선 것이다.

극지연구소 김주홍 선임연구원은 “겨울철 해빙의 갈라진 틈에서 나오는 해양에서 대기로의 열 방출은 대기 흐름을 급격히 바꿔 놓을 수 있다” 며 “이는 거대한 유라시아의 대기 흐름을 바꿔 한반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1차 참가 대원인 극지연구소 박상종 선임연구원은 “해가 뜨지 않는 겨울철 북극해의 단년생 해빙 연구는 그 두께가 얇아 위험도가 높지만 그 만큼 연구의 가치는 높다”고 말했다.

이번 탐사는 현지 시각 지난 10일 노르웨이 스발바드 군도의 롱이어비엔항에서 시작됐다.

이번 연구 대상 지역은 대서양 북극해 바렌츠해 북부의 난센분지가 있는 해역으로 최근 들어 겨울철 북극해의 해빙이 가장 많이 녹은 지역이다.

극지연구소 김백민 선임연구원은 “최근 겨울철은 여름철과는 달리 대서양 북극해의 해빙 해역인 바렌츠해 북부의 해빙 감소가 더 뚜렷하여 북반구 대기 흐름에 영향이 더 크다”고 말했다.

세계 최초로 진행되는 단년생 해빙에 대한 장기 집중 관측에 극지연구소가 참여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북극 연구 역량의 확대를 의미하고, 이는 향후 우리나라의 쇄빙연구선을 활용한 국제 공동 장기 관측 프로그램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