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하철ㆍ고속도로서 만나는 대형화면 숨은 주인공은…‘삼성ㆍLG’
퍼블릭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 삼성ㆍLG ‘굳건’…지난해 3분기 삼성전자 27% 1위, LG전자 7% 3위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퍼블릭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굳건한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며 ‘맹주’로 자리 잡았다.

14일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퍼블릭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27%의 압도적인 점유율로 1위를 기록했다.

퍼블릭 디스플레이는 지하철 역사, 고속도로 톨게이트, 학교, 공공기관 등에 정보를 게시하기 위해 설치하는 대형 패널을 말한다. 이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패널을 공급받아 마케팅과 영업을 담당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퍼블릭 디스플레이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1분기 28%, 2분기 29%, 3분기 27% 등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NEC가 10%의 점유율로 2위, LG전자가 7%로 3위를 차지했다. 이어 일본업체인 샤프와 파나소닉이 각각 4%와 3%로 톱 5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과 일본업체가 상위 5위 안에 포진하면서 전체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

퍼블릭 디스플레이 시장은 지난해 3분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16% 늘면서 고속성장하고 있다. 최근 중국이나 터키 등에서 정부 주도의 교육 기자재 혁신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전자칠판(IWB) 등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 실제 3분기 성장률을 지역별로 보면 동유럽, 라틴 아메리카, 중동ㆍ아프리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분기 기준 퍼블릭 디스플레이의 평균 사이즈 역시 48.9인치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대형 디스플레이 가격이 떨어지면서 기존에 46인치나 47인치가 설치되던 곳에 60인치 이상이 대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퍼블릭 디스플레이의 대형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점유율 1위 업체인 삼성은 새로운 성장원으로 소형 디스플레이를 지목하고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은 최근 22인치 퍼블릭 디스플레이 제품을 내놨다. 이 제품은 유통업체나 소형 점포의 사이니지나 학교 게시판, 식당의 메뉴 등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퍼블릭 디스플레이 출하량은 2012년과 2013년에는 연 200만장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250만장, 올해는 300만장을 돌파한 뒤 2017년에는 400만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