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재계 ‘파워 무브’ 본격화되나...삼성 이어 현대차도 후계작업 수면 위로
[헤럴드경제=홍길용 기자]삼성, 현대차, SK 등 재계 ‘빅3’의 권력 이동 조짐이 뚜렷하다. 총수 일가가 내부 유망기업에 투자해 늘린 자산을 바탕으로 그룹 핵심 경영권에 접근하는 형태가 공통적이다. 금융계열사나 순환출자 등으로 그룹을 간접 지배하는 지금과는 달리, 총수가 직접 핵심기업에 대한 지배력을 높이려는 모습이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정몽구 회장과 정의선 부회장이 가진 현대글로비스 지분 41.33% 중 13.4%의 매각을 시도했다. 거래상대를 찾지 못해 불발했지만, 정 회장 부자가 현대글로비스 지분 거래에 나선 첫 시도라는 점이 눈길을 끈다.

특히 정 부회장에게 현대글로비스 지분 31.88%(시가 3조6000억 원)는 최대 자산이다. 현금화하거나 기아차가 가진 현대모비스 지분 16.88%(시가 약 3조9000억 원)과 맞바꾸면(swap) 정 부회장 중심의 새로운 지배구조가 만들어진다. 현재 ‘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차-현대모비스’의 순환출자 구도 대신 ‘정의선-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차-현대글로비스’의 수직적 구조가 된다.

이번 지분매각 시도는 이를 위한 첫 단추였다. 시가 1조5000억 원의 거래가 성사됐다면 정 회장 부자는 이 자금으로 현대제철이 가진 현대모비스 지분 5.66%(시가 1조3000억 원)를 인수했을 수 있다. ‘현대모비스-기아차-현대차-현대제철-현대모비스’의 작은 순환출자 고리 하나를 끊을 수 있었던 셈이다. 이번 시도를 정 부회장 중심의 새로운 경영권 구축 신호탄으로 보는 이유다.


정 부회장과 기아차 간 현대모비스 지분 맞교환만이 이뤄질 경우 ‘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차’간 삼각 순환출자는 깨뜨릴 수 있지만, 현대제철이 가진 현대모비스 지분 탓에 순환출자 그 고리를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한다.

삼성의 경우 지난 해 삼성SDS와 제일모직의 상장을 신호로 한창 작업이 진행 중이다. 제일모직은 삼성 지배구조의 정점이고, 삼성SDS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자산이 집중된 곳이다. 기업공개로 이 부회장은 삼성SDS의 지분과 제일모직 경영권을 논란 없는 ‘공정한’ 가격으로 현금화하거나 재조합 할 길이 열렸다.

이건희 회장은 금융계열사인 삼성생명과 삼성물산을 통해, 그리고 일부 개인지분 등 약 16%의 지분율로 그룹 심장인 삼성전자를 지배했다. 반면 이 부회장은 삼성생명 2대 주주인 제일모직을 지배하지만 삼성전자에 대한 직접적인 지배력이 없다. 그가 보유한 삼성SDS 지분 11.25%가 삼성전자에 대한 직접적인 지배력을 높이는 자금원천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은 이유다.

지분 매각으로 현금을 만든 후 이 회장의 삼성전자 지분을 증여ㆍ상속 받거나, 합병 또는 주식맞교환 등으로 삼성전자 지분을 확보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SK에서도 비슷한 작업이 예상된다. SK는 외견상 지주사 ㈜SK가 정점인 지주회사 체제다. 하지만 최태원 회장은 ㈜SK를 직접 지배하지 않고, SK C&C를 통해 간접지배하고 있다. ‘옥상옥(屋上屋)’ 구조를 벗어나려면 언젠가는 ㈜SK를 중심으로 지배구조를 재편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게다가 SK C&C는 지난 해 주가가 급등해 시가총액에서 ㈜SK의 시장가치를 앞질렀다. 최 회장의 SK C&C 지분 가치면 ㈜SK 경영권을 확보하고도 남는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SK C&C와 ㈜SK의 합병설이 가장 일반적이다.

/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