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기춘, 시무식 靑 기강확립 지시 무색…항명사태, 인적쇄신론 불 붙이나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이 9일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을 짚어보기 위해 소집된 국회 운영위원회 출석을 거부하며 사의를 표명해 파장이 일고 있다.

김 수석은 상급자인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의 출석지시에도 불응하고 사퇴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져 청와대 공직기강은 ‘문건유출’ 파문 이후에도 제대로 잡히지 않은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김기춘 실장은 최근 청와대 비서실 직원 대상 시무식에서 강력한 기강 확립을 주문한 바 있어 ‘영(令)’이 서지 않는다는 비판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게 됐다. 당장 오는 12일로 예정된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도 이번 사태의 영향을 받게될지 주목된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기춘 실장은 이날 운영위 전체회의에서의 여야 합의에 따라 김영한 수석의 출석을 지시했지만, 김 수석은 이를 거부하며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실상 초유의 항명사태라는 얘기가 나온다.

여권 관계자에 따르면 김 수석은 출석 불응 의사를 전한 뒤 사퇴하겠다는 뜻까지 밝혔다. 이에 운영위에 출석 중인 김기춘 실장은 “본인이 사퇴 의지가 명백하다면 사퇴시키겠다”고 말한 걸로 전해졌다.

김 수석이 어떤 이유로 운영위 출석을 거부하고 사퇴까지 언급했는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김 수석은 대검 강력부장 출신으로, 공안통으로 분류되며 지난해 6월 ‘3기 참모진’ 출범시 청와대로 들어왔다.

김 수석의 지시 불응에 따라 김기춘 실장의 입장도 난처해졌다. 김 실장은 지난 2일 청와대 시무식에서 개혁을 위한 솔선수범과 확고한 기강 확립을 주문하며 ‘비선실세’ 파문에서 벗어나 청와대를 정상궤도로 올려 놓기 위한 노력을 해왔다.

김 실장은 당시 ‘배수의 진’, ‘파부침주(破釜沈舟)’라는 말을 언급, 성공한 박근혜 정부의 종착역을 향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며 아무쪼록 기강을 확실히 해서 모든 정부 기관의 모범이 돼 쓸모있는 비서, 행정관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기춘 실장은 기강 확립과 관련해선 “기강이 문란한 정부 조직이나 집단은 효율적으로 일을 할 수 없다”며 “청와대에서 국가원수를 모시고 근무하는 우리들의 가슴이나 머리 속에 자기 개인의 영달이나 이익을 위해 이 직위를 이용하거나 활용한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충(忠)’이 뭔가. 한자로 쓰면 ‘중심(中心)’이다. 중심을 확실히 잡아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김기춘 실장이 이같은 당부를 한지 불과 일주일만에 청와대의 핵심 참모인 민정수석이 항명으로 해석될 행동을 함에 따라 청와대의 시름은 한층 깊어지게 됐다.

박 대통령으로선 신년 기자회견에서 ‘비선실세’ 파문에서 빠져 나와 경제 살리기와 남북관계 등 주요 이슈에 드라이브를 걸어야 할 처지에 ‘수족’과 같은 청와대 참모진이 파열음을 생산한 꼴이 됐기 때문이다.

더욱이 일각에서 박 대통령에게 요구하고 있는 청와대 참모진 등의 인적쇄신론에 대해서도 어떤 식으로든 답을 내놓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까지 맞딱뜨리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청와대 비서실장 이하 참모진이 박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위해 일사분란하게 뛰어도 모자랄 판에 지시를 어기는 모양새가 불거진 만큼 분위기를 일신하기 위한 인적쇄신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