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야‘靑 문고리 3인방’출석 논란 지속…운영위 보이콧 이어지나
청와대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의 중심에 서 있는 ‘문고리 3인방’의 국회 출석에 대한 여야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오는 9일 국회 운영위원회 개최를 앞두고 전운이 감돌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검찰의 중간수사결과 발표를 ‘면죄부 수사’로 규정, 청와대 관계자의 운영위 출석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만약 출석이 요구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운영위를 ‘보이콧’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새누리당 김재원ㆍ새정치민주연합 안규백 원내수석부대표는 출석 대상을 놓고 물밑 조율을 시도했으나 최종합의에는 실패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는 김기춘 비서실장, 이재만 총무비서관의 출석에는 공감대를 이뤘지만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과 정호성ㆍ안봉근 제1ㆍ2부속비서관에 대해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국회 운영위에서 국정농단의 실체를 밝히기 위해선 이들 모두의 출석이 불가피하단 입장이다.

우윤근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7일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김기춘 비서실장, 김영한 민정수석, 의혹의 핵심인 ‘문고리 3인방’의 국회 운영위 증인출석과 상설특검 수용은 국정운영 정상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최소한의 전제”라고 못 박았다.

이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증인 출석이 거부될 경우 새정치민주연합이 운영위 보이콧을 행사하는 등 ‘강공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새누리당은 여당의 요구를 ‘정치공세’로 일축하고 있지만 당 내에서 청와대에 대한 국정쇄신책 요구가 나오고 있어 미묘한 기류 변화도 감지된다. 특히 옛 친이(친 이명박)계 좌장인 이재오 의원은 7일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지라시 수준의 문건이 청와대에서 유출됐고, 연말에 정국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면서 “그러면 그 부분에 대한 최소한 도의적 책임을 지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김기춘) 비서실장이 책임지든지 담당 비서관이 책임지든지, 아니면 비선 실세로 알려진 사람들이 책임을 지든지 말끔하게 처리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뒤이어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그는 야당의 특검 요구에 대해 “고려해볼 수 있다”고 언급했다. 친이계 조해진 의원도 8일 KBS 라디오에 나와 “국가 최고 기관에서 ‘지라시’ 수준 문건이 만들어지고 공무기강이 엉망이라는 게 입증됐다”며 “사법조치와 별개로 원인을 제공한 사람들, 기강해이를 방치한 사람들이 책임 져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비박계의 청와대에 대한 인적쇄신 요구가 운영위 증인 출석의 지렛대가 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김기훈 기자/kih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