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장초 실종ㆍ꺾어 피우기…‘자린고비’ 애연가 백태
[헤럴드경제=이지웅 기자] 담뱃값이 2배 가까이 오른 가운데 아직 담배를 끊지 못한 흡연자들은 조금이라도 가격 부담을 덜어내거나, 흡연 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갖가지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담배가 ‘사치품’이 되면서 담배 아껴 피우기가 상식이 된 모습이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평소 ‘레종 블루’라는 비교적 순한 담배를 피웠다는 취업준비생 김모(27) 씨는 지난 주말 작심삼일만에 금연에 실패했다.

김 씨는 올 들어 수입 담배 중 독한 축에 속하는 말보로 레드, 카멜 8㎎ 등만 골라 사고 있다. 김 씨는 “담배가 독한 만큼 한 번에 한 대를 다 피우는 것이 아니라 절반만 피우고도 어느정도 만족하게 된다”고 했다. 담배 한 개비를 두 번에 걸쳐 꺾어 피우는 것이다. 김 씨는 “궁상맞고 구차하지만 다시 금연하기 전까지 비싼 담뱃값 견디는 나름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효과를 노리고 일부러 독한 담배를 위주로 사재기를 해놓은 사람들도 있다. 서울 강서구에 거주하는 회사원 장모(34) 씨는 “결국에는 가격이 부담스러워서 금연을 해야겠지만 그 시기를 조금이라도 늦추고 싶어 독한 담배 위주로 몇 갑을 사놓았다”고 말했다. 그는 “만에 하나 담배를 끊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독한 담배를 피우면 평소의 절반으로 흡연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 결과적으로 담뱃값은 지난해와 마찬가지가 될 것이라는 생각도 하고 있다”고 했다.

담뱃값이 ‘금값’이 되면서 올 들어 담배를 알뜰히 피우는 버릇은 흡연자들의 불문율이 되고 있다. 대학생 이모(26) 씨는 “학교 안 재떨이만 보아도 이른바 장초는 예전보다 확연히 줄어들었다”며 “담뱃값 인상으로 담배 한 개비가 200원을 훌쩍 넘게 된 만큼 흡연자들이 꽁초를 남기지 않고 끝까지 피우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다른 한편에서는 남은 담배꽁초를 주워 모아 흡연욕구를 달래는 저소득층 노인들도 생겨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담뱃값 인상과 관련한 풍자 게시물이 화제가 되고 있다.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상에 돌아다니는 ‘담배를 아껴 피우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사진은 흡연자가 두 손가락으로 코를 막고 담배 연기를 들이마시는 모습을 담고 있다. 사진에는 ‘콧구멍을 막으면 연기가 덜 빠져나가 담배를 좀 더 오래 피울 수 있다’는 식의 웃지 못할 설명이 달려 있다.

plat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