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에어아시아기 수색, 이젠 블랙박스 찾기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실종 4일째를 맞는 에어아시아 QZ8501편 수색 현장에서 시신이 수거되고 잔해들이 발견됨에 따라, 수색 작업이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다.

이제 수색의 초점은 ‘블랙박스’로 이동하고 있다. 사고 직전 상황을 담고 있는 블랙박스야말로 실종 미스터리를 풀 결정적 단서가 될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 CNN 방송 등 외신들은 30일(현지시간) QZ8501기와 관련된 의문을 풀어줄 열쇠는 블랙박스가 쥐고 있다면서 블랙박스 회수 가능성에 대해 일제히 주목했다.

비행기 운항 정보 기록기기인 블랙박스는 항공 사고의 원인을 밝혀내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한다. 블랙박스는 비행경로, 사고 당시 속도와 고도, 엔진상황 등이 수록된 비행자료분석장치(FDR)와 조종실 대화, 관제기관과의 교신 내용 등을 기록한 조종실 음성녹음장치(CVR) 2가지로 구성돼있다. 이를 해독하면 사고 당시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사고 경위 규명이 수월해진다.

QZ8501기 실종 관련 블랙박스에서 가장 필요한 정보는 사고 당일인 28일 항로와 고도를 수정하겠다고 관제탑에 알리고 오전 6시 17분 교신이 두절되기까지 6분 간 기체에 무슨 일이 발생했냐는 것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저속 비행이나 고도 상승시 지나치게 가파른 비행 각도 때문에 기체가 힘을 잃고 추락했다고 주장해왔다. 조종사가 비행 전 정확한 기상 정보를 받지 못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때문에 이 같은 의문을 일거에 해소할 돌파구로서 블랙박스 회수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QZ8501기 추락 현장으로 추정되는 팡칼란분 해역은 수심이 25~30m로 상대적으로 얕아 가능성은 밝은 상황이다.

다만 블랙박스의 수명이 관건이다. 기체가 물속에 가라앉으면 블랙박스의 신호기가 위치를 알려주는 신호음(ping)을 보내는데, 그 기한이 30일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1월 26일께 배터리 수명이 다할 것으로 우려된다.

실종된 에어아시아기 수색을 주도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군이 30일(현지시간) 자바해에서 이뤄지는 수색ㆍ구조 작전을 위해 지도를 보고 논의하고 있다. [자료=게티이미지]

그때까지 신호를 찾지 못할 경우 수색은 더욱 힘들어지고 사고 원인 수사는 미궁에 빠지게 된다.

한편 밤방 소엘리스트오 인도네시아 국가수색구조청장은 이날 자카르타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남성 1명과 여성 2명 등 시신 3구를 수습해 해군 함정에 옮겼다고 밝혔다.

또 항공기 출입문과 산소탱크 등 잔해가 수습됐으며, 실종기 동체로 추정되는 물체의 그림자도 해저에서 포착돼 수색 작업이 활기를 띠고 있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