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내달 1일 통합 산업은행 정식 출범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내달 1일 산업은행과 정책금융공사가 합병한 통합 산업은행이 정식 출범한다. 이명박 정부의 산업은행 민영화 방침으로 지난 2009년 10월 분리된 지 5년여만의 재결합이다.

이번 통합으로 산업은행은 정책금융의 핵심 역할을 하는 국책은행으로 다시 거듭나게 됐지만, 정책 혼선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 논란은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은과 정금공은 지난 5월 공포된 개정 산업은행법에 따라 합병 절차를 마치고 내일 통합 산업은행으로 공식 출범한다. 이에 따라 정금공과 산은 지주 업무 및 인력은 이날부로 산은에 흡수된다.

산은은 통합 체제에 맞춰 이달 조직 정비 및 인사를 모두 마쳤다. 정금공의 온렌딩(간접대출)과 간접투자금융은 신설된 간접금융부문에 편입됐고, 산은 지주의 자회사 관리 업무는 신설된 자회사관리단이 맡게 됐다. 또 정금공의 해외투자 부문은 수출입은행으로 이관돼 관련 업무 수행인력 30명이 수은으로 소속을 바꿨다.

공격적인 금리 정책으로 시중은행과 마찰을 빚었던 다이렉트 예금은 폐지되고, 개인금융 부문 조직도 수신기획부로 축소됐다. 다만 실명확인 방문 서비스만 사라졌을 뿐 기존 개인고객에 대한 혜택은 그대로 유지된다. 영업점 방문을 통한 개인계좌 개설도 여전히 가능하다.

문제가 됐던 산은과 정금공 간 직급 조정 문제는 무사히 해결됐다. 앞서 두 조직은 분리 후 신생 조직이었던 정금공은 승진이 빨랐던 반면, 산은은 인사적체로 승진이 늦어져 직급 불균형 문제가 발생했다. 하지만 정금공 직원에 인사상 불이익이 없도록 한 국회 요구에 따라 산업은행과 공사 직원의 직급은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되 ‘팀장’ 등 직위는 인정하지 않기로 결정됐다.

상위 직급 급여가 산은보다 다소 높았던 정금공 직원 급여도 당분간은 유지하되 향후 점진적으로 맞춰가기로 했다.

한편 산은의 민영화 방침의 철회에 따른 정책실패와 그에 따른 혼란 및 비용에 대해서는 비판과 논란이 끝나지 않을 전망이다.

윤석헌 숭실대 금융학부 교수는 “산은의 민영화론과 정책금융기관으로서 역할론은 끝나지 않는 논쟁 이슈”라며 “다음 정권 들어 민영화 이슈가 또다시 되풀이되지나 않을까 두렵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금융권 보신주의 행태에 대한 비판이 있는 상황에서 정책금융의 필요성은 중요하다”며 “기왕 통합 산은이 재출범하는 만큼 정책금융기관으로서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해주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