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비스·공공행정까지 불황 그림자
통계청 11월 산업활동 동향 발표…경기상황은
자동차·반도체등 생산은 증가세…설비투자도 증가 경기개선 기대


한국 경제가 침체기에서 허우적거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들이 속속 나타나고 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18개월만에 기준점인 100 이하로 내려가며 현 경기가 불황 국면임을 보여줬다. 주요 산업의 경우도 제조업을 제외하고 서비스업, 건설업, 공공행정 부문 등이 일제히 감소세를 나타내며 부진한 모습을 이어갔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11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산업생산은 전달보다 0.1% 증가했다. 2개월째 상승세다. 하지만 증가폭은 줄었다. 게다가 속을 들여다보며 불안한 상승 추세다.

전체 산업 중 서비스업 생산은 한 달 전보다 0.3% 감소했다. 숙박ㆍ음식점(-3.4%), 전문ㆍ과학ㆍ기술(-3.3%) , 협회ㆍ수리ㆍ개인(-3.3%) 부문 등이 크게 줄었다.

건설업(-1.7%), 공공행정(-2.0%)도 11월에 하락을 면치 못했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 건설수주가 전월 대비 26.1% 줄며 3개월째 20%대 이상의 감소폭을 보였다.

그나마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광공업생산이 11월에 전달보다 1.3% 증가하며 전체 산업생산의 상승세를 힘겹게 지탱했다. 자동차(9.0%)와 반도체ㆍ부품(2.9%) 등이 크게 증가한 것이 광공업생산 증가를 이끌었다.

내수 부문도 다소 나아진 모습을 보였다.

9, 10월에 큰 폭으로 하락했던 소비는 3개월 만에 상승세로 반등해 지난달 소매판매액지수는 한 달 전보다 1.9% 늘었다.

10월에 감소했던 설비투자도 일반기계류와 기타운송장비 등에서 투자가 증가해 전월대비 13.1% 올랐다.

일부 지표의 호전에도 전체적으로 여전히 경기가 불안한 모습이지만 정부는 11월 각종 경제 지표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내놓은 ‘11월 산업활동 동향 및 평가’를 통해 “전체 산업생산이 2개월 연속 증가하고 광공업 생산 반등, 소매 판매ㆍ설비투자 큰 폭 증가 등 경기 개선세가 확산되는 조짐”이라며 “세계경제 회복세 지속, 국제유가 하락, 경제활성화 법안 통과 등이 향후 경기흐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기재부는 “산유국 경제 불안 등 대외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이라며 “내수 중심의 경제활력 제고ㆍ경제체질 개선 등 2015년 경제정책방향 과제를 차질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남현 기자/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