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알코올에 의존하는 60대 男ㆍ40대 女…그들이 알코올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헤럴드경제=허연회 기자]60대 남성과 40대 여성이 술에 중독되거나 술 때문에 정신병적 증상이 나타나는 알코올성 정신장애에 가장 많이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3년 알코올성 정신장애의 인구 10만명당 진료 인원은 남성의 경우 60대가 537명으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40대가 90명으로 다른 연령대보다 많았다.

남자는 60대 다음으로는 50대(501명), 70대(457명), 40대(331명) 순이었으며 여성은 50대가 87명으로 40대에 조금 못미친 가운데 30대(77명), 20대(59명) 순이었다.

19세 이하는 남성과 여성이 각각 13명과 9명으로 전체 연령대 중에서는 가장 적었지만 가장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2008년 이후 남성과 여성 각각 연평균 12.3%와 8.4% 증가해 최근 알코올 의존성 인구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60대 남성과 40대 여성에서 알코올성 정신장애가 많이 나타나는 것은 이 연령대가 정신적 위기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선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알코올 치료센터 교수는 “60대 남성 환자가 많은 것은 이 연령대가 수십년 음주를 해온데다 사회, 경제적 활동이 적어 정신적으로 위기를 맞게 되는 시기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또 “40대 여성의 경우 중년기로 넘어가면서 우울증과 같은 기분 장애가 생기는 경우가 많은데, 일종의 ‘자가치료’로 술을 마시면 알코올성 정신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체 연령대를 아우르는 알코올성 정신장애 진료 환자는 작년 7만5925명으로 2008년 6만3821명에 비해 연평균 3.5% 증가했다. 진료 인원은 남성(6만1438명)이 여성(1만4487명)보다 4.2배 많았다.

진료비 역시 같은 기간 연평균 9.8%가 늘어 2008년 1362억원에서 2013년 2175억원으로 늘었다. 입원환자 역시 2008년 2만7250명에서 2013년 3만2503명으로 연평균 3.6% 증가했다.

알코올성 정신장애는 알코올 사용장애와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로 구분된다.

알코올 사용장애는 흔히 알코올 중독이라고 불린다. 신체적 위험에도 의도한 것보다 술을 많이 마셔 신체질환을 앓게 되거나 가정과 직장에서 역할을 제대로 못할 정도로 술을 마시는 경향이 있다.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는 알코올로 인해 인지기능이나 기분, 수면 등에서 정신병적 이상 증상이 생기는 경우다. 불안, 초조, 환시, 환청, 기억력 판단력 저하,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등의 증상을 느끼게 된다.

알코올성 정신장애는 방치될 경우 알코올성 치매나 뇌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교수는 “알코올 의존성이 있는 경우 술을 끊어야 한다”며 “알코올 의존 가능성이 없더라도 폭음을 피하고 마실 술의 양을 미리 정해 술자리를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okidok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