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언론사 웹사이트 악성코드 감염으로 관리 비상” 블루코드 경고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언론사 웹사이트들이 악성 코드 감염 광고로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세계적인 웹 보안 기업 블루코트코리아는 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5년 글로벌 보안 시장 전망’을 발표했다.

내년 보안 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사항으로 지능화되는 멀웨어의 증가로 개인정보보호와 기업 인프라 보안 유지의 어려움 증가하고, 언론사 웹사이트들이 악성 코드 감염 광고로 인해 관리에 어려움이 커지며, 사용자 정보를 마케팅에 활용하는 ‘잠재적 유해 소프트웨어(PUS)’의 증가 등을 꼽았다. 또 데이터를 볼모로 몸값을 요구하는 랜섬웨어(ransom ware)의 증가, 소셜 네트워크의 정보를 활용해 사용자를 공격하는 해커들의 증가, ‘빅브라더’를 위한 감시 소프트웨어의 증가, 하트블리드, 쉘쇼크, 푸들 등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보안 취약점 공격 악성코드 연구 활발 등도 인터넷 보안을 위협하는 요소로 제시했다.

블루코트는 “멀웨어를 포함하고 있는 온라인 광고를 개재하는 언론사의 웹사이트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실제로 언론사 웹사이트에 방문 후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사례가 크게 증가하면서 광고 업체에 대한 검열과 제한 등의 보다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경고했다.

또 전반적인 유해 소프트웨어의 증가세도 주목했다. 잠재적 유해 소프트웨어(PUS)가 모바일 기기에 빠르게 퍼지며 인터넷 환경을 해칠 것이라는 우려다. 최종 사용자들의 약관에 교묘하게 침투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무료 앱을 다운로드 받을 때 숨겨진 PUS가 사용자의 웹 서핑 시 발생하는 정보들을 수집하여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기도 한다. 주로 개발자들이 무료로 배포하는 소프트웨어 창작물에 이러한 PUS를 추가하여 수익 원으로 삼고 있으며, PUS가 기기 성능에 영향을 미치거나 악성 코드에 감염되는 경우 치명적인 오류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PUS는 설치 시 사용자의 동의를 구하는 형식을 취하여 마케팅을 필요한 정보를 내려 받기 동의서에 표시하고 있어 기존 바이러스, 트로이 목마, 웜 등 멀웨어 방식과는 차별화되어 있다고 블루코트는 설명했다.

김기태 블루코트코리아 대표는 “최신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기기 및 장비들이 계속 출시되고, 모바일 기기의 업무 활용도 증가, 외부 무선 인터넷 사용, 사물통신(M2M)의 확산 등으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든 기기들을 급증하는 악성코드와 멀웨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지고 있다”고 말하고 “보안 사고를 예방 및 차단하기 위해서는 암호화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정확하게 살펴보고 위협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강조했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