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차기 우리은행장 오늘 결정…누가되든 후폭풍 불가피
이광구 유력속 김승규·김양진 뒷심
‘신관치금융’, ‘정치금융’ 논란을 일으키며 관심을 모은 차기 우리은행장이 5일 결정된다.

우리은행 행장후보추천위원회(행추위)는 이날 최종 후보 3인에 대한 심층면접을 진행하고 차기 행장 최종후보를 결정한다. 행추위가 끝나는 이날 늦은 오후쯤 최종 후보가 발표될 예정이다. 최종 후보는 오는 9일 이사회 의결을 거쳐 30일 주주총회에서 차기 행장으로 선임된다.

‘서금회’(서강대 출신 금융인 모임) 일원으로 급부상한 이광구(57) 개인고객본부 부행장이 여전히 유력한 가운데 김승규(58) 경영지원총괄 부행장과 김양진(58) 전 수석부행장도 막판 뒷심을 보여준다는 각오다.

과연 최근의 복잡한 형국이 누구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는지 심층면접 결과에 이목이 집중된다.

▶최종 3인, 나의 강점은=최종 후보 3인이 스스로 말하는 강점은 모두 다르다. 이광구 부행장은 “지금 시점에서 내 강점을 얘기하기 부담스럽다”며 말을 아꼈지만 안팎에선 업무추진력이 뛰어나고 어떤 일을 맡겨도 성과를 만들어낸다는 점을 강점으로 꼽았다. 이 부행장은 서강대(경영학과)를 졸업하고 1979년에 상업은행으로 입행해 우리은행 홍콩지점장, 개인영업전략부장, 경영기획본부 등을 거쳤다.

김승규 부행장과 김양진 부행장은 한일은행 출신이다. 이 부행장과 같은 해 입행한 김승규 부행장은 우리은행 내에서 기획ㆍ전략, 인수합병(M&A) 전문가로 꼽힌다. 입사 후 줄곧 기획전략, 재무관리 쪽 업무를 맡아왔다. 민영화업무도 김 부행장이 총괄해왔다. 이순우 현 행장과 같은 성균관대(경제학과) 출신이다.

노조위원장을 거친 김양진 전 수석부행장은 흐트러진 우리은행 조직을 추스리는데 적임자로 꼽힌다. 올해 3월 수석부행장으로 퇴임한 그는 정부은행이지만 원칙있는 승계구조와 인사원칙 확립에 강한 자신감을 보였다. 세 명 중 상대적으로 입사(1983년) 경력은 짧지만 가장 먼저 수석부행장에 올랐다. 서울대(농대)를 졸업했다.


▶누가 되든 후폭풍 거셀듯=차기 행장이 누가 되더라도 적지않은 후폭풍이 예상된다. 일단 집행부행장 12명 중 8명이 이달 임기가 만료된다. 따라서 누가 되든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는 예고돼있는 상황이다.

이광구 부행장의 경우 관치금융 또는 정치금융 논란을 짊어지고 시작해야는 부담이 생길 수 있다. 우리은행 내부에선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출신이 번갈아 행장을 맡던 관례도 깨지게된다. 이에 임원급 사이에서 출신에 따른 라인형성 또는 갈등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 반면 공기업 같은 조직문화 쇄신과 보다 자유로운 개인역량 강화 효과는 기대된다.

김승규 부행장과 김양진 전 수석부행장의 경우 조직안정과 민영화 전략의 연속성 있는 진행이 가능할 전망이다. 다만 퇴임 임원의 복귀와 수석부행장을 건너뛴 부행장 출신의 수장이라는 점은 부담이다. 

황혜진 기자/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