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 소비자는 봉? 수입차 부품 국내가격 해외보다 최대 2배 이상 비싸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주요 수입 자동차 브랜드의 국내 부품 판매가격이 해외 판매가격보다 최대 2.5배까지 비싼 것으로 드러났다.

소비자시민모임(이하 소시모)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BMW, 벤츠, 아우디, 렉서스, 크라이슬러 등 5개 수입 자동차 브랜드의 주요 부품(앞범퍼, 뒷 범퍼, 본네트, 앞 휀다, 앞 도어패널, 헤드램프 등 6개 품목) 국내 및 해외 판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전체 30개 부품 중 23개 부품의 국내 판매가격이 해외 평균가격보다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소시모에 따르면, 우선 렉서스 300h 모델의 앞 휀다 부품은 국내 판매가격이 독일보다 2.5배, 미국보다 1.8배나 비쌌으며, 헤드램프 역시 독일에 비해 2.5배, 미국에 비해 2.1배 높은 판매가격을 보였다.


벤츠 E300 모델의 앞범퍼와 뒷 범퍼도 수입국인 독일에 비해 각각 1.4배 비싼 것으로 분석됐다. 같은 차종의 헤드램프의 국내 판매가격도 독일(1.3배)과 미국(1.8배) 보다 높았다. 이 외에 크라이슬러 300C 모델의 도어패널 국내 판매가격 역시 독일(1.3배), 미국(1.9배)보다 모두 높았다.

소시모 관계자는 “국산 및 수입자동차 9개 차종 30개 부품의 국내 판매 가격을 조사한 결과, 정비업소 유형에 관계없이 가격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수입 자동차 부품의 경우 일부 일반 정비업소의 가격이 공식정비업소에 비해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동급(2000cc 세단)의 국산 및 수입 자동차를 비교한 분석한 결과, 자동차 가격은 수입 자동차가 국산차 보다 2.9배가량 비싼데 반해, 부품 가격은 수입 자동차가 국내 자동차보다 4.6배~7.0배 비싼 것으로 집계됐다.

앞의 관계자는 “지난 8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차량 소유자들에게 ‘인터넷 자동차 부품가격 공개제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72%가 부품 가격을 확인하기 어렵다고 답변했다”며 “제도의 실효성이 낮은 만큼 정보 제공의 내용과 방식을 소비자 친화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소시모는 자동차 부품 시장의 합리적인 거래ㆍ소비문화 확산을 위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예산 지원을 받아 수입 자동차 부품의 국내외 가격 비교, 국산 및 수입자동차 부품의 정비업소 형태별 가격 비교 등을 수행하고 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