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난해 신생아 기대수명 82년
[헤럴드경제 = 하남현 기자] 지난해 태어난 아이의 기대수명이 82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간 기대수명 격차는 역대 최저인 6.5년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013년 생명표’에 따르면 지난해 태어난 남녀 아이의 기대 수명은 각각 78.5년, 85.1년이다. 남녀 전체적으로는 81.9년이다.

전년과 비교하면 남자는 0.6년, 여자는 0.4년 증가했다. 10년 전인 2003년과 견줘 남자는 4.7년, 여자는 4.2년 늘었다.

남녀를 합친 기대수명(81.9년)은 2012년보다 0.5년, 2003년보다 4.5년 증가했다.

지난해 태어난 남녀간 기대수명 차이(6.5년)는 관련 통계가 시작된 1970년 이래 최저 수준이다. 남녀 기대수명 차이는 1985년(8.4년)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다.

지난해 기준으로 40세인 남성과 여성의 기대여명은 각각 39.7년, 45.9년이다. 60세인 남녀의 경우는 각각 22.0년, 27.0년이다.

지난해 태어난 남녀 아이가 80세까지 살아있을 확률은 각각 55.2%, 76.7%를 기록했다. 2012년보다 남성은 1.9%포인트, 여성은 1.0%포인트 증가했다. 2003년보다는 남녀가 각각 15.8%포인트, 13.6%포인트 높아졌다.

한국 남성의 기대수명(78.5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보다 1.0년, 여성(85.1년)은 2.2년 높다.

OECD 회원국 가운데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나라는 남성의 경우 아이슬란드(81.6년), 여성은 일본(86.4년)이다.

지난해 출생아의 최다 사망요인으로는 암이 꼽혔다. 남자의 암으로 인한 사망확률은 28.1%로 전년보다 0.5% 포인트 늘었고, 여자 역시 전년보다 0.3%포인트 늘어난 16.6%로 나타났다.

이어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확률이 남녀 각각 9.1%, 11.9%로 뒤를 이었다.

남녀 모두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암에 의한 사망확률이 높았다. 다만 여자의 경우 80대에선 심장질환(12.7%)에 의해 숨질 가능성이 가장 컸다.

암이 제거된다면 작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남자 4.7년, 여자 2.8년이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65세 남성이 암에 안 걸릴 경우 남자는 3.9년, 여자는 2년의 기대수명이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심장질환 및 뇌혈관질환에 걸리지 않으면 남자는 각각 1.3년간 더 살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여자는 뇌혈관질환과 심장질환에 걸리지 않으면 각각 1.3년, 1.2년의 기대수명이 증가했다.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