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7년까지 연매출 2500억 달성할 것” 영실업 창립 34주년 맞아 대대적 변신 예고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국내 대표적 완구기업인 영실업이 3일 창립 34주년을 맞아 2017년까지 연매출 2500억원을 달성하고 ‘글로벌 키즈 콘텐츠 크리에이터’(Global Kids Contents Creator)로 도약할 것을 선언했다.

영실업은 국내 완구 시장에서 ‘또봇 돌풍’을 일으킨 장본인. 또봇의 성공에 따라 영실업의 매출은 지난 2010년 242억원에서 지난해 761억원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지난 하반기 내놓은 또봇의 후속작 ‘바이클론즈’ 역시 순항을 거듭하며 올해 목표 매출액 1000억원 달성도 무난할 전망이다.

영실업은 이 같은 성공을 넘어 글로벌 키즈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성장하기 위해 ‘완구와 애니메이션의 결합’이라는 또봇의 성공 모델을 모든 보유 캐릭터와 신규 출시 캐릭터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자사가 보유한 캐릭터의 활용 범위도 뮤지컬, 게임 등으로까지 대폭 확장한다.

영실업은 3일 창립 34주년을 맞아 ‘글로벌 키즈 콘텐츠 크리에이터’ 도약, 2017년까지 연매출 2500억원 달성이라는 비전을 선포했다. 영실업 임직원들이 비전선포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찬희 영실업 대표는 “올해 싱가포르와 대만, 필리핀에 진출한 또봇이 일부 모델이 품절되고 지역 남아용 애니메이션 1위를 차지하는 등 현지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며 “아시아를 넘어 미국과 유럽으로의 진출도 적극 모색하는 등 해외 수출 비중을 늘려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영실업은 새로운 완구 개발에도 총력을 기울여 모든 연령대의 제품 라인업을 갖춰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영실업은 또봇 보다 높은 연령층을 겨냥한 변신로봇 ‘바이클론즈’ 시리즈의 제품군을 대폭 늘리는 한편, 15년 역사를 지닌 자체 캐릭터 ‘콩순이’를 활용한 영유아 교육용 애니메이션의 방영을 시작했다.

콘텐츠 역량과 마케팅 기능 강화를 위한 조직 개편과 인사도 동시에 단행됐다. ‘마케팅실’이 ‘마케팅 본부’로 승급됐으며 ‘미디어 본부’는 ‘영상 사업실’과 ‘라이선스 사업실’로 분리됐다. 또한 ‘디자인 연구소’의 직급체계를 팀장, 수석, 책임 등 연구소 체제로 변경해 디자인 연구 역량을 강화했다.

이와 함께 경영본부장 김형엽 전무가 부사장으로, 완구 영업본부 박금순 이사가 전무로 승진하는 등 대규모 임직원 인사도 실시됐다.

한 대표는 “앞으로 영실업은 전통 완구 제조 회사에서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어린이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나아갈 것”이라며 “조직 개편 등을 통해 내부 역량을 강화하고 애니메이션, 게임 전문 업체와의 협업 강화를 통해 콘텐츠 전문성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