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65조원 들여 지역 대표산업 육성…지역발전 5개년 계획 확정
[헤럴드경제 = 하남현 기자] 오는 2018년까지 총 165조원을 투입해 지역대표산업을 육성하는 ‘지역발전 5개년 계획’이 추진된다. 이를 통해 일자리 22만개를 창출하고 총 생산액을 286조원으로 늘린다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또 전국 어디서나 30분 이내에 고속도로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간선도로를 정비해 전국을 반일생활권으로 만드는 등 지역 인프라가 대폭 확충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지역발전 5개년 계획’이 2일 국무회의를 통과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지난 3월 선정 완료된 전국 56개 지역행복생활권을 중심으로 마을공동체를 복원하고 마을기업을 지난해 1119개에서 2018년 1700개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65% 수준인 농어촌 상하수도 보급률은 2018년 80.5%까지 끌어올리고 구도심의 달동네 낙후 지역을 2018년까지 118곳 재생시키기로 했다.

지역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서는 지역 대표산업 집중 육성을 통해 일자리 22만개가 신설되고 투자 선도지구 14개가 새로 지정된다. 또 25개 산업단지를 리모델링하는 등 지역의 경제ㆍ산업 여건을 개선한다.

정부는 또 수도권에 비해 현저히 낙후된 지방 교육여건 개선에도 나서기로 했다. 2018년까지 대학특성화 사업단 264개, 지역선도대학 10개, 우수학과 60개를 육성해 지역 인재가 현지에서도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아울러 2018년까지 문화도시 15개, 문화마을 50개를 조성하고 지역주민을 위한 ‘작은도서관’은 현재 36개에서 2018년 160개로, 작은 영화관은 22개에서 91개로 각각 확충하며 소외지역의 문화격차를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단 1곳에 불과한 의료취약지 거점의료기관은 2018년까지 10개로 늘리는 등 지역 복지체계 개선도 추진한다.

이를 위한 예산은 국비 109조원을 비롯해 지방비 40조원, 민간투자 16조원 등 모두 165조원에 달한다.

정부 관계자는 “과거 지역발전정책이 실제 지역과 주민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있었다”며 “주민이 체감하고 현장과 밀착된 지역정책으로의 전환을 모색했다”고 설명했다.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