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실질임금 상승률 6개 분기 연속 추락…가계가 지갑을 닫는 원인
[헤럴드경제=허연회기자] 물가 오름폭을 반영한 실질임금 상승률이 6개 분기 연속 떨어졌다.

올해 3분기 실질임금은 0.1%도 채 못 올라 마이너스 인상률을 눈앞에 뒀다. 취업자 수가 매달 40만∼50만명씩 늘어나는데도 소비가 살아나지 않는 ‘모순’이 나타나는 이유다. 노동시간이 비교적 짧고 저임금인 시간제ㆍ비정규직 위주로 취업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1일 한국은행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실질임금은 월평균 295만800원으로 1년 전 294만8552원보다 2248원(0.08%)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런 증가율은 2011년 4분기(-2.4%) 이후 2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근로자가 손에 쥐는 명목임금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분을 뺀 것으로 실질적인 구매력을 나타낸다.

실질임금 상승률이 떨어지면 가계가 지갑을 닫아 소비가 늘지 않고, 이로 인한 물가 하락으로 경제 활력이 저하되는 악순환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지난해 2분기 3.4%에서 3분기 2.5%, 4분기 2.1%, 올해 1분기 1.8%, 2분기 0.2% 등 6개 분기 연속으로 뒷걸음질쳤다. 4분기에는 마이너스로 돌아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올해 1∼9월 누적 상승률은 이미 0.7%로 주저앉았다. 근로자 전체 평균으로 봤을 때 실질임금은 조금씩이라도 늘고 있다. 그러나 상용직과 일용직을 분리해 따져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3분기 상용직 실질임금은 1인당 평균 312만1213원으로 1년 전보다 5700원(-0.2%) 줄었다. 임시직은 125만44원으로 3만6506원(-2.8%)이나 감소, 2개 분기 연속으로 마이너스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월급이 많은 상용직 수가 늘어나면 상용직ㆍ임시직 각각의 실질임금이 줄어도 전체 평균은 올라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상용직 실질임금이 감소한 것은 기업들이 성과급ㆍ상여금 등 특별급여를 크게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질임금 기준 특별급여는 3분기 월평균 50만6672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1% 줄었다. 감소폭이 2분기(-10.7%)보다 더 커졌다. 이런 추세는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상용직은 상황은 그나마 나은 편이다. 임시직의 경우 명목임금 상승률마저 마이너스다.

3분기 임시직 명목임금은 1년 전보다 1.5% 하락해 2010년 1분기(-2.4%) 이후 4년 6개월 만에 마이너스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편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 근로자들은 생산성을 올린 만큼의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

2008∼2013년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은 연평균 3.2%, 노동생산성은 3.0% 증가했다. 그러나 이 기간 근로자 실질임금은 연평균 1.3% 늘어나는 데 그쳤다.

okidok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