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크고 장기간 소요…지나친 비판은 투자에 악영향”
이명박정부 당시 추진했던 해외자원 개발사업에 대해 정치권에서 부실투자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해외자원 개발 전문기관들이 한자리에 모여 갑론을박(甲論乙駁)을 벌였다.
한국자원공학회ㆍ대한지질학회ㆍ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후원한 가운데 지난 27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해외자원개발 전문가 토론회’를 공동 주최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김대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는 “최근 해외자원개발에 대한 정치적 비판과 쟁점들은 상당 부분이 자원개발사업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초래됐다”고 주장했다. 김 박사는 “해외자원개발사업의 정치 쟁점화에 따른 일부 부정적 사건의 과잉된 언론보도 및 사회적 비판여론의 확대로 정상적인 자원개발투자에도 악영향이 초래될 것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지난 27일 한국자원공학회ㆍ대한지질학회ㆍ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가 공동 주최한 ‘해외자원개발 전문가 토론회’에서 자원개발 전문가들이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정책추진과 일관성 있는 지원 대책을 강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신현돈 인하대 교수는 ‘해외자원개발 특성에 대한 오해와 진실’이라는 발표에서 “해외자원개발사업은 ‘고위험 고수익’ 사업이며 낮은 탐사성공률, 유가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크고 탐사부터 생산까지 긴 기간의 포트폴리오를 필요로 한다”고 꼬집었다. 신 교수는 이어 “(자원개발은)자원개발서비스, 엔지니어링, 건설, 정유 등 주변산업에 미치는 파급 효과와 국민 경제에 큰 수익을 줄 수 있는 기대효과가 크다”며 “해외자원 개발사업의 특성을 반영해 정책을 추진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과를 평가해야 한다. 사업의 특성을 반영해 정책을 추진하고, 일관성 있게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전문가들은 또 “성공한 개발사업은 뒷전으로 놓고, 실패한 사업만 부각시키는 것은 옳지 않다”고 입을모았다. 이와함께 “ ‘지정학적 리스크를 감수하면서까지 자원개발을 할 필요가 있느냐’, ‘자원개발 공기업의 대형화가 필요하냐’ 등의 외부 지적에도 오해가 있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해외자원 개발 사업들이 지정학적으로 원거리에 있거나 정세가 불안한 일부 국가에서 진행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우리나라의 자원개발 수준은 아직 구멍가게 수준으로 해외 메이저기업과 경쟁하기에는 턱없이 규모가 작으므로 공기업의 대형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설명했다.
허연회 기자/okidoki@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