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외신이 본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미국 블룸버그 통신이 한국의 국사 국정교과서 추진을 민족주의를 부추기고 미래 세대에 정부가 의도한 역사관을 심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해 주목된다.

블룸버그는 24일 ‘일본이 고문한 한국의 여걸(유관순)이 역사 교과서의 문제가 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을 둘러싼 논란을 조명했다.

앞서 황 장관은 일부 한국사 검정 교과서가 유관순 열사에 관한 기술을 누락한 데 대해 문제가 있다면서 국정 전환해야 한다는 입장을 여러차례 밝힌 바 있다.

블룸버그는 “한국에서 역사 교과서는 주변국에 대한 미래 세대의 태도뿐 아니라 박근혜 대통령의 아버지인 박정희의 유산에 대한 관점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면서 “박근혜 정부엔 한국사 교과서 국정 전환이 학교가 어떤 역사를 가르칠지 선택할 능력을 박탈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부 교사와 역사학자들은 박근혜 정부가 유관순을 박정희의 ‘1961년 쿠데타’(5ㆍ16)를 미화하는 교과서를 발행하기 위한 명분으로 사용한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준식 연세대 국학연구원 연구교수는 블룸버그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박 대통령이 자신의 아버지를 역사적으로 복귀시키려 한다”면서 “국정 교과서는 보수 정부의 성과를 선전하고 보수 정권의 집권 연장을 위해 필요한 역사관을 조장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교육부는 이 같은 의혹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권성연 역사교육지원팀장은 블룸버그에 “현대 세계에서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일은 많은 단계에서 많은 역사가들이 참여하는 개방적 과정”이라면서 “이런 우려가 현실화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권 팀장은 이어 “정부는 역사 교육에 있어 일관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엿다.

이에 대해 찰스 암스트롱 컬럼비아대 교수는 “교과서 논란은 1980년대 후반 민주화 이래 지속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진보ㆍ보수 진영 간 전선이 형성됐다”면서 “부분적으론 세대 간 싸움이자 미래 세대에 자신들(보수진영)의 가치관을 심어주기 위한 시도”라고 꼬집었다.

한편 블룸버그는 동북아시아에서 역사 교과서가 역내 긴장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그 예로 블룸버그는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전 일본 총리가 지난 2001년 역사 교과서에서 한국과 다른 아시아국 ‘성노예’ 관련 기술을 삭제해 주변국의 분노를 촉발한 일을 들었다.

sparkli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