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문래동 철공소 골목 50년史 대통령으론 첫 방문한 朴…창조경제를 골목까지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박근혜 대통령은 21일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철공소 골목’을 찾아 산업과 문화가 공존하는 ‘문래동식 창조경제 모델’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의 핵심 경제 패러다임인 창조경제를 골목 구석구석까지 확산시키는 데 힘을 보태기 위한 행보다.

박근혜 대통령이 ‘철공소 골목’을 방문한 건 이날 ‘문래 소공인특화지원센터’가 문을 연 게 계기다. ‘철공소 골목’은 1960년대 초반 철재상인들이 모여들어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곳으로, 박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 가운데 처음으로 이 골목을 찾았다. ‘문래동에서 만들지 못하는 건 국내 어떤 곳에서도 만들지 못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의 기계금속 가공 분야 최대 메카다. 2000년대 들어선 저렴한 임대료 덕분에 빈 공장을 중심으로 예술인들이 대거 입주, 250여명의 예술인이 활동하는 문래창작촌이 지역명소로 부상했다.

이런 지역에 소공인특화지원센터가 들어선 건 기계공업과 예술이 융합된 문래동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지역 창조경제 허브로 키우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다.

센터는 3D프린터를 활용한 제품ㆍ기술혁신 지원, 제품디자인ㆍ거리예술 등 문화접목 지원 등을 담당한다. 단순히 철제 제품이 아닌 디자인과 예술을 입힌 상품으로 부가가치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궁극적으론 ‘메이드 인(Made in) 문래’ 제품의 명품화와 문래동 명소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박근혜 대통령도 이에 힘을 실어줬다.

박 대통령은 특히 이날 센터와 두산인프라코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3곳이 소공인의 판로확대, 마케팅ㆍ사업화 지원 등에 협력키로 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한 걸 격려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또 철공인ㆍ문화예술인과 대화를 가진 뒤 문래 창조나무 서약식도 지켜봤다. 이 나무는 홍익대 재학생이 디자인하고 문래동 철공인들이 제작한 예술작품으로 창조열매를 맺는 모습을 형성화했다.

이날 행사엔 한정화 중기청장, 곽의택 문래 소공인특화지원센터장, 김용성 두산인프라코어 대표 비롯해 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 문래 소공인ㆍ예술인 등 20여명 참석이 참석했다. 또 소상공인 지원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이현재 새누리당 의원과 전순옥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도 함께 했다.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