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동남아 ‘한류’ 덕에…해외물류 흐름 ‘제조업→유통업’
-대한상의 13일 ‘해외진출 물류기업 현황 및 실태 보고서’
-해외 물류기업 ‘貨主’ 유통 기업 비중 2년 새 2.6배 증가
-동남아 지역 소비시장 성장으로 유통업 물류 수요 증가 기대



[헤럴드경제=박수진 기자] 제조업 위주의 해외 물류 흐름이 유통업 위주로 이동하고 있다. 해외에서 이뤄지는 우리나라 상품 물류의 화주(貨主) 가운데 유통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올해 처음으로 20%를 넘어섰다. 2년 사이 2.6배 늘어난 수치다. 특히 중국, 동남아시아 등 아시아 지역의 유통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국내 물류기업들이 해외유통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3일 발표한 해외진출 물류기업의 현황 및 애로실태 조사에 따르면 올해 해외진출 물류기업의 화주 비중은 제조업 72.3%, 유통업 22.7%로 나타났다.

2012년 조사에서 제조업 90.6%, 유통업 8.7%로 나타난 것과 확연히 달라졌다. 유통업체 비중이 거의 3배로 커진 것이다.

국내 물류기업이 주로 진출한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의 유통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했기 때문이다. 아시아 지역 소매시장 매출은 최근 5년간 연평균 11% 이상 증가했다.

대한상의는 “그간에는 물류업계가 제조업체의 수출입과 부품조달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주력했으나 최근에는 유통기업 화주의 물류서비스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고 말했다.

물류기업들은 물동량 확보의 불확실성(40.4%)을 가장 큰 애로로 꼽았다. 이어 현지 파트너십 구축(28.6%), 관련 법ㆍ세제 지식 부족(9.4%), 물류전문인력 부족(7.9%) 등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향후 현지 경영전략으로 ‘현상유지 전략을 펴겠다’는 응답이 50%를 넘었다.

물류기업 진출이 유망한 지역으로는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26.8%)를 가장 많이 꼽았고 중국(18.0%), 러시아·중앙아시아(11.7%), 중동(11.0%) 순으로 응답했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의 물류시장 성장률은 최근 3년간 15.5%로 글로벌 평균(8.5%)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이라며 “한류영향에 따른 우호적인 시장 분위기와 우리나라 제조 및 유통업의 진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물류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sjp1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