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항공업계, 3분기 ‘유가’에 웃고 ‘환율’에 울고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지난 3분기 국내 항공업계가 ‘저유가’ 기조를 바탕으로 비용을 크게 줄이며 영업이익을 극대화했지만, 환율 변화로 인한 외화환산손실이 발생하며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11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3분기 국제적인 유가 하락의 흐름속에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다. 

대한항공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50.3%가 증가한 240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3분기 연료비에서만 987억원의 비용을 절감한 덕분이다. 대한항공의 지난 3분기 연료소모량은 839만배럴로 전년 동기(802만배럴) 대비 4.6% 증가했지만 유류비는 1조4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1조1265억원) 6.9% 감소했다.

아시아나항공도 3분기 영업이익은 65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다. 특히 연료 소모량이 408만배럴로 전년 동기(396만배럴) 대비 3.1% 증가했지만 유류비는 5114억원으로 전년 동기(5517억원)보다 7.3%나 줄였다.

그러나 원ㆍ달러 환율의 변동이 당기순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3분기 335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린데 비해 올 3분기에는 392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당기순손실로 적자전환한 데는 외화부채 환산손실 등 환율 변동의 영향이 컸다. 9월말 적용 원ㆍ달러 환율이 6월말에 비해 36.2원 오르면서 장부상 환산차손이 발생한 것이다. 특히 대한항공의 경우 전체 차입금 중 60.6%(84억달러ㆍ9조1148억원)에 이르는 높은 비율이 미국 달러로 구성됐기 때문에 환율에 민감하게 작용했다.

반면 차입금 중 미국 달러 비율이 22.6%(7억6600만달러ㆍ8346억원)인 아시아나항공의 경우에도 외화환산차손실로 인해 지난 3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828억원) 대비 83.7%가 감소한 135억원을 기록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당기순손실의 경우 실제로 빠져나가는 손실이 아닌 장부상ㆍ명목상 손실이며 환율이나 유가 변동에 대비해 헤징(위험 회피)를 하고 있다”며 “산업 특성상 비용 중 유류비의 비중이 높고 항공기 도입에 따른 외화 차입금 규모도 크기 때문에 외부 변소에 따라 실적 변동 역시 큰 편”이라고 설명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