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强달러ㆍ엔低’ 원투펀치에 휘청이는 한국경제…당국 ‘환율전쟁’ 전격 나서나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가 선언되기 무섭게 일본이 추가 양적완화를 단행하면서 한국 경제가 ‘강(强)달러ㆍ엔저(低)’의 원투펀치에 휘청거리고 있다.

강달러는 자본유출과 주가하락으로 이어지면서 금융시장 불안을, 또 수입물가 상승으로 내수침체를 각각 불러일으킨다. 엔저는 우리 수출기업들에게 치명타다. 미국ㆍ일본발(發) 환율 변동성은 한국경제의 두 축인 내수와 수출에 커다란 악재가 되고 있다.

특히 일본의 추가 양적완화로 2차 엔저 공습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4일 서울 외환시장 개장 전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0원대로 내려갔다. 원/엔 환율이 940원대를 기록한 것은 2008년 8월21일 이후 처음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원/엔 환율이 100엔당 950원대가 되면 수출이 4.2% 줄고, 900원까지 내려가면 8.8%나 급감할 것으로 전망했다. 첨단 기술로 무장한 일본이 이제 가격경쟁력까지 갖추게 된 셈이다.

원/달러 환율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8.9원 오른 달러당 1081.5원에 출발했다. 원/달러 환율이 장중 1080원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3월25일 이후 처음이다.

원/엔 환율 하락은 달러화 대비 엔화 가치의 하락, 즉 엔/달러 환율 상승 때문이다. 엔화 약세와 달러화 강세가 겹친 것이다.

그동안 달러당 110엔은 주요 지지선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지난달 31일 일본중앙은행의 추가 양적완화 발표 이후 이날 단숨에 115엔선을 위협할 정도로 엔/달러 환율 상승세는 가파르다.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엔/달러가 주요 저항선인 110엔 돌파 이후 다음 타깃인 115엔을 향해 랠리를 펼치고 있는 가운데 원/엔 환율 하락으로 환율하락을 용인할지, 전격적으로 환율전쟁에 나설지 당국의 고민이 깊어지는 시점”이라며 “미국의 금리 인상을 앞두고 자본유출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1100원을 돌파하면 자칫 위기 상황으로 보여질 우려 등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특히 엔저가 장기화될 경우 국내 수출기업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정부가 중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기업들도 대응력을 강화하겠지만 주요국의 환율이 각국 정부의 주도로 이뤄지고 있는 만큼 ‘환율조작국’이란 비난에도 불구하고 시스템적인 개입을 통한 환율 방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윤창현 한국금융연구원장은 “엔저에 따른 경쟁효과 때문에 한국의 기업들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원/엔 환율을 적정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외환당국의 개입이 필요하고, 제프리 프랑켈 하버브대 교수도 기축통화가 아닌 경우, 자유 변동환율이 아니라 관리 변동환율 쪽으로 가는게 좋다고 강조한 바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추가 인하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신동준 하나대투증권 자산분석실장은 “일본의 추가 양적완화로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며 “글로벌 통화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동안 선진국, 신흥국 할 것 없이 환율과 금리의 민감도가 상당히 높아지기 때문에 한은이 기준금리 인하를 언제든 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