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금리 적금, 알고보니…
카드실적 요구·불입액 제한 ‘빛좋은 개살구
저금리에도 불구, 일부 시중은행들이 3% 이상 고금리 적금을 판매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끈다.

하지만 그 금리를 다 받으려면 신용카드를 과도하게 사용해야하는 등 제한이 있어 이자소득이 다른 저금리 상품과 별 차이가 없는 ‘빛 좋은 개살구’ 인 것으로 분석됐다.

28일 소비자문제연구소 컨슈머리서치가 KB, 우리, 신한, 하나, 외환, 농협, 기업, SC은행 등 8개 주요 은행에서 시판 중인 정기적금 금리를 조사한 결과 1년제 기준으로 연 3% 이상 금리를 주는 상품(최고금리 기준, 특수계층 대상상품 제외)은 16개였다.

이중 기본금리가 3% 이상인 적금은 단 1개이며, 나머지 상품들은 급여이체, 공과금 납부, 주식거래 등 다양한 조건을 만족해야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상품이었다. 특히 6개 상품은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이용실적을 채워야 은행이 제시한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구조였다.

5% 이상 고금리 혜택을 주는 ‘KB굿플랜적금’, ‘부자되는적금세트’, ‘우리함께행복나눔적금’ 등 3개 상품은 수백만원에서 많게는 수천만원이 넘는 카드실적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상품은 월 불입액을 10만원에서 50만원으로 제한을 두고 있어서 수천만 원씩 카드를 긁더라도 실제로 이용자들이 손에 쥘 수 있는 이자는 연간 몇만 원에 불과하다.

SC은행 ‘부자되는적금세트’도 신용카드를 매달 30만 원 이상, 체크카드는 매달 50만원 이상 사용해야 연 6.5% 금리가 적용된다. 이 상품은 월 적립금액이 10만원과 25만원 두 종류뿐이다. 퍼스트가계적금에 가입한 뒤 신용카드를 연 360만원(체크카드 600만 원)이상 결제하면 세후이자(일반과세)는 각각 3만5743원, 5만4990원으로 기본금리에 비해 2만원가량 더 붙는다.

우리은행의 ‘우리함께행복나눔적금’도 우대금리 2.7%포인트를 더 받으려면 연간 카드 사용실적이 전년보다 250만원 이상 많아야 한다. 월 불입액 10만원짜리 적금은 카드를 연간 250만원 이상, 20만원인 상품은 500만원 이상 더 긁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최고금리 5.7%를 받을 수 있고, 이 중 1%가 자동으로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 기부돼 소비자가 실제로 받는 이자율은 연 4.7%가 된다. 이에 월 20만원을 내면 연간 이자는 5만2000원 정도로, 기본금리(2.7%)를 적용할 경우와 2만원밖에 차이 나지 않는다.

최현숙 컨슈머리서치 대표는 “저금리 기조 탓에 금리가 1%포인트라도 높은 금융상품에 소비자들이 몰리는 점을 이용해 은행들이 카드 수수료 수입 올리기에 급급한 상황”이라며 “고금리에만 현혹되지 말고 실제 수익률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신소연 기자/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