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살인적 바가지 횡포’에 멍드는 부산불꽃축제…최대 40배 폭리 등 단속 시급
[헤럴드경제=윤정희(부산) 기자] 부산 광안리해수욕장을 조망할 수 있는 부산의 한 노래방. 25일 부산불꽃축제를 보기 위해 예약을 한 A씨(24세)는 12명 가족들 수대로 120만원을 주고서야 겨우 예약을 할 수 있었다.

평소라면 넉넉히 3만원이면 이용이 가능했지만 이날 만큼은 40배에 달하는 비용을 지불해야만 예약이 가능했다. 축제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상인들이 이른바 자릿세를 요구하고 있는 셈이다.

해마다 100~150만명의 관람객이 부산불꽃축제를 보기위해 광안리를 찾는 가운데 인근지역 상인들의 ‘바가지’요금 역시 덩달아 극성을 부려 관련 기관들이 합동단속에 나서는 등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바가지요금이 기승을 부리는 곳은 부산시 수영구 광안리해수욕장 일대 숙박시설과 음식점, 주점, 커피숍 등이다. 상가마다 창가 방과 자리는 수개월전에 이미 예약이 끝났고, 나머지 자리도 대부분 예약을 마쳐 축제의 인기를 절감하게 하고 있다.

부산불꽃축제를 보기위해 광안리를 찾으려던 관람객들은 평소 요금의 수십배에 달하는 자릿세 요구에 불쾌함 마을을 얻고 발길을 돌리고 있다.

평소 10만원대인 주변 호텔의 패키지 상품(1박+2인 조식)은 50만∼60만원까지 치솟았다. 축제기간동안 노래방들은 10명 이상 단체 손님 예약만 받고 있으며 1인당 10만원을 지급해야만 예약이 가능한 실정이다. 또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횟집 등에서는 창가 자리를 음식값 포함해 120∼150만원에 팔고 근처 노래방과 패키지로 예약하면 200만원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커피숍의 창가 테이블은 4명 기준으로 20만원 상당의 세트 메뉴를 주문해야 겨우 예약이 가능한 상황이다.

울산에 사는 권모(45세)씨는 가족들과 부산불꽃축제를 찾고자 했지만 끝내 포기하고 말았다. 권 씨는 “부모님을 모시고 가족들과 함께 불꽃축제를 보려고 했지만 과도한 요금에 포기하고 말았다”며 “아무리 인기있는 축제라지만 지나친 바가지 요금은 부산 전체의 이미지를 흐리기 때문에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상인들의 바가지 횡포가 극에 달하자 관할 구청인 수영구는 지난 1일부터 대대적인 사전점검을 하면서 가격표시제 준수를 당부하고 나섰지만 효과는 미지수다. 지난해 경찰과 합동으로 단속을 실시해 요금 미게시 업소 14곳 등 얌체업소 25곳을 적발해냈지만 업소들의 바가지 횡포에 비하면 단속 실적이 미미했다.

상황의 심각성을 고려해 수영구는 축제 당일 오전부터 부산 남부경찰서, 공정거래위원회와 함께 바가지요금 특별단속을 벌이기로 했다. 또한 해마다 반복되는 바가지요금을 근절하기 위한 근본 대책마련에도 부심하고 있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