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대북 활동가 “北 노동교화소 현장 실사 해야”
[헤럴드경제 =원호연 기자]북한 노동교화소의 현장실사가 이뤄져야 인권문제가 실질적으로 진전될 것이라고 미국 대북활동가가 주장했다.

로버타 코언 북한인권위원회(HRNK) 공동위원장은 16일(현지시간) 북한전문 웹사이트 ‘38노스’에 기고한 글에서 “(북한과의) 대화는 추진돼야 하지만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근 북한은 유엔에서 자국 인권상황에 대한 자체 결의안 초안을 회람하고 각국과 인권대화를 할 준비가 됐음을 알린 바 있다.

코언 위원장은 유엔주재 북한대표부가 지난 7일 연 인권 설명회에서 노동교화소의 존재를 인정한 것에 대해 “(노동교화소) 현장 실사로 이어져야 하며, 그 다음으로 약 12만 명이 비참하게 수용된 정치범 수용소에 대한 논의로 연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이 시민ㆍ정치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CPR) 가입국인 만큼 규약을 지켜야 한다”며 “여러 유엔 기구에서 나온 (북한 인권관련) 권고안들을 모두 인권협상 테이블에 올려놓아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코언 위원장은 이어 북한과의 인권대화가 다른 인권 관련 대북조치들을 대가로 삼는 일종의 거래 수단이 돼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가 대북 인권대화 창구로 일원화돼야 한다거나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가 제안한 ‘인권 연락그룹’이 동북아에서 평화와 안보증진을 위한 다자 협력체의 기본이 돼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