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유엔 여성 인권 회의서 ”위안부 문제 조속히 해결”
[헤럴드경제 =원호연 기자]한충희 주유엔 한국대표부 차석대사는 15일(현지시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위안부 강제동원을 부정하는 일본 정부가 배상책임을 외면하는 것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 차석대사는 이날 오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여성의 지위향상’을 주제로 열린 유엔총회 제3위원회 여성 의제 일반 토의에서 “위안부 피해자 문제는 미해결 상태로 지속되는 분쟁하 성폭력의 핵심 사안”이라고 말했다.

한 차석대사는 이어 “피해자들의 고령을 감안할 때, 시급하고도 지금도 진행되고 있는 이러한 인간 존엄성의 문제를 지체없이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 차석대사는 유엔 인권위원회,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 나비 필레이 전 유엔 인권최고대표가 일본 정부에 대해 책임을 인정하고 적절한 해결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한 점을 상기시켰다.

이날 한 대사의 발언은 최근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담화를 무력화하려는 일본 정부를 견제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아베 정부는 요시다 세이지 씨 증언을 바탕으로 한 아사히 신문의 보도 취소를 이유로 “일본의 명예가 국제적으로 훼손 됐다”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일본 정부 입장을 국제적으로 홍보하겠다”는 각의 결정을 내렸다.

4차에 이르는 위안부 국장급협의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모든 법적 문제가 해소됐다”는 기존 입장만 되풀이하며 배상을 위한 구체적 대안을 제시할 수 없다고 통보했다.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 인정과 배상’이라는 피해자들의 염원이 이뤄지기 힘든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

한 대사가 유엔 회의에서 피해자들의 고령과 문제 해결의 시급성을 언급한 것은 위안부 문제가 단순히 양자 현안이 아니라 인류 보편적 가치인 인권을 침해한 문제임을 부각해 국제사회의 동조를 이끌어내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한편 한 대사는 여성의 정책결정 참여 보장, 경제활동과 교육 보장 등을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을 소개하면서 “한국은 양성평등을 위한 국제적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