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거짓 스펙’ 사건 바라보는 학부모 시각…“일어나선 안될 일, 다만 입학사정관제 부담 커”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학생, 학부모, 교사가 모두 연루된 ‘거짓 스펙쌓기’ 입학 부정 사건을 바라보는 학부모들의 시선은 편치는 않다. 절대 일어나선 안될, 사기극이라는 게 중론이다.

다만 이같은 일은 대학마다 입학사정관제 전형이 천차만별이고, 준비해야하는 서류도 녹록치 않아 일선 교육현장에서는 부담이 큰 현실에서 터진 것으로, 뭔가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부정을 저지르고 싶은 유혹의 싹을 근원적으로 자를 수 있는 합리적인 입학사정관제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전 정부에서 도입한 입학사정관제는 2007년 10개 대학이 시범 도입한 이후 국내 대부분의 대학이 운영해 왔다. 그러나 2015학년도부터 입학사정관 전형이 학생부종합전형으로 통합됐다.

기존 성적 위주의 획일적인 학생선발 방식에서 벗어나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 지원자의 학력, 소질과 능력, 인성, 성장잠재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는 기본 취지는 유지되고 있다. 대학들도 단순히 성적 우수자가 아니라 학교의 교육이념이나 목표, 모집단위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할 수 있다는 평가다.


하지만 정작 전형을 준비하는 입장에서는 그 부담이 만만치 않다.

올해 딸이 대학에 진학한 유모(52ㆍ여) 씨는 “대학별로 전형이 다르고 준비해야 할 것이 많아 맞벌이 부부에게는 원서 작성하는 것만해도 큰 부담”이라며 “입시설명회는 여유있는 학부모들이나 관심 갖고 참석할 수 있고, 자소서 챙겨보고 교사추천서 받으러 학교 뛰어다니는 것은 언감생심”이라고 했다.

일선 학교에서는 보다 현실적인 문제를 지적한다.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의 한 3학년 담임 교사는 “학기 중에는 수업을 해야하니까 방학까지 반납하며 서류를 봐야하는 게 현실”이라며 “이른바 명문이라고 하는 학교는 학생부종합전형에 지원자가 많아 교사 부담이 더 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대학도 나름의 부담감을 호소한다. 한 대학 관계자는 “지원자들이 7000명에서 많게는 1만명까지 몰리는데, 서류 검토 기간은 한달에 불과해 물리적으로 꼼꼼히 확인하기가 어렵다”고 했다.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자소서나 교사추천서의 유사도검색시스템은 서류상의 진위 여부를 밝히지 못하고 표절이나 중복 여부만 확인하는 수준이다. 시스템상 허위로 기재된 서류를 걸러낼 수 없기 때문에 면접 과정에서 검증하기 위해서 그만큼 전형 담당자의 부담이 커지게 된다.

이에 대해 대학 입시 제도를 관리ㆍ감독하는 교육부도 일선에서의 부담에 공감하면서 개선책을 고민해 갈 것이라는 입장이다.

교육부 대입제도 관계자는 “대학은 학교라는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가 있어 교사가 공식적으로 작성한 학생부나 자소서, 교사추천서를 의심하고 접근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자소서 양식을 통일하고 불필요한 입상경력을 기재하지 않도록 하는 등 현장에서 부정이 개입되거나 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개선책을 강구 중”이라고 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