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푸틴ㆍ시진핑 닮은꼴 ‘사이버포비아’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중국과 러시아가 미디어 통제에 나서면서 두 나라가 과거 냉전시대 ‘닮은 꼴’이 되어가고 있다.

중국 당국은 홍콩의 민주화 시위가 격화되면서 미디어 검열을 더욱 강화했고, 러시아는 외국 인터넷 기업이 서버를 자국 내에만 두게 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는 등 최근 양국의 ‘사이버포비아’(사이버공포증)가 ‘재발’하면서 검열망이 한층 더 두터워지고 있다.

홍콩에서는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고 채팅을 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선 사용이 급증했다. 중국 당국의 채팅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 대한 검열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홍콩 시위대를 중심으로 오프라인 채팅앱인 ‘파이어챗’의 가입자 수가 하루 만에 10만 명을 기록했으며 시위 첫날 파이어쳇 동시 접속자 수는 3만3000명까지 치솟았다고 보도했다.

홍콩 ‘우산혁명’. [사진=위키피디아]

동시에 비공식적인 검열 횟수도 늘어났다. 일일 사용자 수가 4600만 명에 이르는 중국 SNS 시나(新浪) 웨이보(微博)에는 시위 관련 사진이나 글이 게재되는 즉시 순식간에 삭제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고 포린폴리시(FP)는 전했다.

특히 지난달 28일 하루 동안 검열돼 삭제된 게시물 비율은 지난 6월 4일 톈안먼(天安門) 사태 25주년 기념식 당시 검열 비율의 2배에 달한다고 FP는 지적했다.

인터넷 감시단체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는 사진 공유 SNS인 인스타그램 접속도 차단됐고, 텐센트의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위챗의 메시지도 지워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 사태로 내부 여론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러시아의 인터넷 통제도 강화되고 있다.

러시아 국가두마(하원)는 지난달 24일 자국 내에서 영업하는 외국 인터넷 기업이 러시아 가입자 서버를 해외가 아닌 러시아에 두도록 의무화하는 법률을 내년부터 시행키로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시행 시기를 당초보다 2년 앞당긴 것이다.

7월 푸틴 대통령은 외국 기업들이 러시아인들의 개인정보를 러시아 내에만 저장하도록 강제하는 법안에 서명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FP는 러시아의 인터넷 자유가 사라지고 있으며 이같은 인터넷에 대한 푸틴 대통령의 태도는 내부 비판에 대한 그의 두려움과 고립주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푸틴 대통령은 인터넷을 “CIA(미 중앙정보국) 프로젝트”라고 언급한 바 있다.

법안의 입법의도에 대해 일부 인권운동가들은 당국의 정보 통제가 쉽도록 서버를 국내에 설치하고 국민들의 인터넷 활동 감시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미 러시아는 하루 3000명 이상 조회수를 기록하는 블로그의 정부 기관 등록을 의무화하는 ‘블로그법’을 시행하고 있다. 총리령을 통해 공공장소에서의 무료 인터넷 서비스 접속을 제한하는 조치도 취했다. 비상상황 발생시 외부 인터넷을 차단하는 방안도 고려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인권단체 프리덤하우스에 따르면 2012년 1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러시아 법무부가 차단한 웹사이트의 수는 60% 증가했다. 한 연구에선 2012년 정부가 관리하고 있는 ‘인터넷 블랙리스트’ 수가 8만3000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