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9ㆍ1 대책 한 달, 서울 아파트 시총 1조7300억 증가
[헤럴드경제=박준규 기자] 9·1부동산 대책이 나온 이후 한 달 사이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시가총액이 2조4000억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일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9월 마지막 주 시세 기준으로 수도권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총 354만1723가구의 매매가 시가총액이 1282조3206억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9ㆍ1대책이 나오기 전인 8월 마지막 주 시가총액 1279조9123억 원보다 2조4083억 원이 늘어난 수치다.

서울이 636조2533억원으로 한달 새 1조7379억원 늘었다. 경기는 5876억원, 인천은 828억원이 증가했다.

이는 재건축 연한 단축, 청약제도 개편, 택지개발촉진법 폐지 등을 담은 정부의 9ㆍ1대책이 재건축 단지 위주로 매매가 상승을 이끌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8월1일부터 DTI·LTV이 완화되고 실수요자들과 투자수요자들이 움직이면서 강남3구는 물론 수도권 전 지역으로 매매가 상승세가 퍼진 것도 원인이 됐다.


특히 재건축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1990년 이전 준공된 아파트의 매매가 상승이 거셌다.

서울에서 매매가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오른 자치구는 단연 강남으로, 8월 마지막 주 기준 98조3100억원에서 9월 마지막 주 98조7143억원으로 4043억원 증가했다.

뒤를 이어 양천구가 32조2995억원으로 3872억원 늘었다. 서초구가 68조495억원으로 3451억원, 송파구가 73조7391억원으로 1728억원, 노원구가 37조751억원으로 1451억원이 늘었다.

강남구는 개포동 재건축 단지와 압구정동 한강변 재건축 추진 단지들의 시가총액이 크게 올랐다. 양천구는 목동신시가지 단지를 중심으로 시가총액이 증가했고 송파구 역시 가락동 가락시영 및 신천동 장미1차 등 재건축 단지 시가총액이 증가했다.

노원구는 상계동 일대의 주공 단지 및 월계동 미륭ㆍ미성ㆍ삼호3차를 비롯해 하계동 극동ㆍ건영 등 재건축 추진연한이 단축된 단지의 시가총액이 늘었다.

김미선 부동산써브 선임연구원은 “부동산 규제완화 대책이 잇따라 쏟아지면서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도 되고, 매도호가가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며 “하지만 매수자들이 점차 거래에서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추격매수세도 약해서 10월엔 지난달과 같은 매매가 상승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whywh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