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권역별 도시재생사업 모델 만든다

-동남ㆍ서남ㆍ동북ㆍ서북권 등 4곳…사업별로 100억원 지원

[헤럴드경제=이진용 기자]서울시가 창신ㆍ숭인에 이어 동남ㆍ서남ㆍ동북ㆍ서북권 4개 권역별 서울형 도시재생사업 모델 만들기에 나선다. 서울시는 인프라ㆍ안전 등 생활여건이 열악해 도시재생이 시급한 지역을 대상으로, 그 지역주민과 자치구가 적극적으로 참여해 ‘낙후ㆍ쇠퇴지역 활성화’, ‘지역경제 부활’이라는 두 개의 목표를 실현하는 권역별 도시재생 모델을 발굴, 이를 도시 전역으로 확산시킬 방침이다.

이에따라 서울시는 4개 권역별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을 공모한다고 1일 밝혔다.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 공모는 ▷생활환경개선 ▷기초생활 인프라 확충 ▷공동체 활성화 등이 필요한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참가를 원하는 지역구의 자치구청장은 주민과 관계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거쳐 시에 응모하면 된다.

공모의 평가 기준은 ▷시범사업으로서의 적정성 ▷자치구의 추진역량 ▷주민의 추진역량 및 참여도 ▷사업의 파급효과 ▷지역의 쇠퇴도 등이며 ▷실현가능성 ▷자료의 정확성 등도 함께 고려해 평가될 예정이다.

서울시정 과제와의 연계성도 고려 대상이다. 이번 도시재생 사업의 기본방향은 권역별로 ▷동남권 국제적 기능 강화 및 관광ㆍ 문화 기능 확대 ▷서남권 신성장 산업 거점 및 시민 생활기반 강화 ▷동북권 자족기능 및 고용기반 강화 ▷서북권 창조 문화산업 특화 등이다. 

4개 권역별 서울형 도시재생사업 모델

선정된 시범지구에 대해서는 사업별로 100억원 내에서 서울시가 90%, 해당 자치구가 10%를 분담해 지원하게 되며 내년도에는 시범사업 활성화계획 수립을 위해 최대 5억 원까지 우선적으로 지원된다.

서울시는 14일 사전 설명회를 개최해 도시재생의 개념 및 시범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과 대상사업, 공모절차 및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11월 중 공모 접수를 진행한 뒤 관계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의 평가를 통해 12월 중 시범사업 지구를 선정 발표할 예정이다.

진희선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의 공모를 통해 낙후되고 쇠퇴된 지역이 주민 참여와 공공의 노력으로 재생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며 “새로운 도시재생사업의 모델을 발굴, 확대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jycaf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