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평균 예금금리 2.3%대로 사상 첫 추락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지난 8월 중 은행의 정기예금 평균 금리가 사상 처음 연 2.3%대로 떨어졌다. 은행의 예금과 대출 금리 모두 사상 최저 행진을 지속했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8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평균 저축성 수신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전월보다 0.13%포인트 하락한 2.36%로 집계됐다. 이는 1996년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래 사상 최저로, 저축성 수신금리의 2.3%대 진입은 처음이다.

저축성 수신금리는 작년 12월 2.67%를 정점으로 떨어지기 시작해 올해 6월 2.57%, 7월 2.49% 등으로 하락했다.

대표적인 저축성 수신인 정기예금도 7월 2.47%에서 8월 2.35%로 하락, 사상 처음 2.3%대에 진입했다. 정기적금(2.67%→2.57%), 상호부금(2.58%→2.49%) 등의 금리도 떨어지기는 마찬가지였다.


정기예금의 금리대별 가입액 비중은 2%대가 95.0%를 차지했고 2% 미만은 4.9%였으며 3%대는 0.1%에 불과했다.

지난달 은행권의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는 연 4.18%로 전월보다 0.21%포인트 하락했다. 역시 사상 최저다.

가계대출(3.93%→3.76%)은 주택담보대출(3.53%→3.50%)과 소액대출(5.22%→5.08%)을 중심으로 평균 0.17%포인트 떨어졌다.

기업대출(4.54%→4.35%)도 0.19%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8월 14일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와 이에 따른 시장금리 하락분이 은행 금리에 반영된데 따른 것이다.

이주영 한은 금융통계팀 차장은 “일부 은행의 몇몇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은 특판 종료 등 특이 요인 때문으로, 전체적인 대출 금리는 하락세였다”며 “가계대출 금리 하락에는 적격대출을 위주로 비교적 저금리의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이 확대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신규 취급된 가계 대출 중 고정금리형의 비중은 지난달 47.5%로, 21개월만의 최고 수준이었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