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국 14개 시ㆍ도…어떤 산업을 집중 육성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안 수립
[헤럴드경제=허연회 기자]전국 14개 시, 도에서 각 지역에 특화된 핵심 산업을 향후 5년간 육성하기 위한 계획안이 수립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경남 창원에서 전국 14개 시, 도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지역경제위원회를 열고 ‘2014∼2018 지역산업발전계획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 계획안은 14개 시, 도가 앞으로 5년간 어떤 산업을 중점 육성할지를 담은 것으로 작년 10월부터 11개월에 걸쳐 각 지자체가 주도한 실무회의와 공청회 등을 통해 마련됐다.

각 지자체는 중추 산업으로 키울 ‘주력산업’, 다른 지자체와 연계, 육성할 ‘협력산업’, 지역 전통산업에 해당하는 ‘연고산업’ 등 3가지 분야를 각각 정했다.

전체적으로 주력산업은 63개, 협력산업은 16개, 연고산업은 39개다.

일례로 부산은 지능형 기계부품과 초정밀 융합부품 등 5개를 주력산업으로, 조선해양플랜트 사업 등 3개를 협력산업으로, 화장품 사업 등 3가지를 연고산업으로 정했다.

계획안에는 각 지역별 기업 특성과 경제적 환경 등을 고려해 어떤 식으로 역점 사업을 발전시킬지가 담겨 있고, 예산 지원 방안 등도 다뤄져 있다. 기술개발과 인력 양성, 입지 확보 계획 등도 포함돼 있다.

산업부는 이 계획안이 차질 없이 추진되면 2018년에 14개 시, 도의 근로자 수와 생산액이 2012년보다 각각 3.0%, 6.6%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계획안은 오는 11월에 세워지는 지역발전 5개년계획에서 ‘일자리 창출’ 부문에 반영된다.

산업부는 이날 회의에서 올해 상반기에 혁신 산업단지로 선정된 4개 산업단지의 개발 비전도 확정했다.

구미는 정보기술(IT) 융복합 위주의 첨단산업, 창원은 고부가가치 기계산업, 반월시화는 자동차, 신소재 중심의 첨단부품산업, 대불은 첨단 조선해양 산업을 각 산업단지별 특화 분야로 정하고 시설 혁신에 나서기로 했다.

okidok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