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동반성장지수 평가 수술해야”…업종ㆍ규모 차별화, 서열화 방지 필요
[헤럴드경제=홍길용 기자]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의 상생을 촉진하기 위한 동반성장지수 평가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업종과 규모를 고려하지 않은데다 기업간 서열화를 부추기는 부작용이 크다는 지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는 23일 2013년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인 100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를 공개했다. 결과를 보면 동반성장지수 평가제도가 협력사의 경영성과를 개선시키고 경쟁력을 높였다는 데는 절반도 안되는 40.7%만이 동의했다.

또 기업에 부담은 크지만 인센티브가 미흡해 자발적인 참여를 유인할 요인이 부족하다(88.7%)는 지적을 쏟아냈고, 기업의 현실과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85.7%)는 불만도 높았다. 중소기업의 자생력 강화 노력을 측정할 장치가 없다(78.6%)는 걱정도 컸다.


다만 동반성장지수 제도가 대기업의 협력사 지원확대를 늘렸다는데는 77.3%가 동의했고, 동반성장의 추진틀을 마련하고 인식을 확산했다는데에도 79.4%가 공감했다. 또 하도급 공정거래 제도를 정비하고 이행수준을 높였다는데도 67.2%가 긍정했다.

이에 따라 평가대상 기업들은 제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제언들도 내놨다. 평가방식을 업종별·규모별로 달리 적용해야 한다는 제안이 47.1%로 가장 많았다. 현행 상대평가 방식을 절대평가 방식으로 바꾸고 상위평가 기업만 공개함으로써 서열화 부작용을 막아야 한다는 건의에도 응답자의 40%가 찬성했다. 동반성장 우수기업에 세액공제 혜택부여 등 인센티브 강화하자는 아이디어도 14.3%가 내놨다. 반면 현행 지수평가의 틀을 유지해도 무방하다는 응답은 4.3%에 불과했다.

양금승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산업생태계 전반으로 동반성장의 문화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기업현실과 역량에 따라 차등화하고 기업의 자발성과 창의성을 이끌어내는 방향으로 동반성장 평가 체계를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는 상생협력연구회와 공동으로 기업 규모와 협력사의 역량에 따라 동반성장 이행수준을 단계적으로 높여 나가고, 이에 상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5단계 스텝업(Step-Up)방식의 상생협력 평가모델을 동반성장위원회 등에 제안해둔 상태다.

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