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리얼푸드 뉴스]한국 인삼, 중국서 서양삼에 밀리는 이유는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한국 인삼이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효능에 대한 높은 평가에도 불구하고 낮은 브랜드 인지도와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중국 시장을 공략하는 장애물이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베이징센터가 최근 중국 대도시(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소비자 450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중국인들이 주로 구매하는 인삼 종류는 서양삼(71%), 중국삼(12%), 고려삼(한국삼과 북한삼을 통칭, 7%) 순으로 나타났다.

서양삼은 미국ㆍ캐나다에서 수입한 인삼과 이들 종자를 가져와 중국에서 재배한 인삼으로 실제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다.


품종별 선호 인삼에 있어서는 서양삼(35%), 중국삼(21%), 고려삼(21%) 순이었다.

품종별 구매이유로는, 가장 대중적이고 저변이 넓은 서양삼의 경우 ‘효능이 좋아서(39.6%)’, ‘부작용이 없어서(22.6%)’, ‘가격이 적당해서(18.8%)’를 꼽은 이들이 많았다.

중국인들에게 오랫동안 복용돼온 중국삼을 구매한 이유는 ‘가격이 적당해서(35.4%)’, ‘부작용이 없어서(29.2%)’ 등이 꼽혔다.

이에 비해 고려삼은 품질이 좋고 포장이 세련되다는 인식 덕에 ‘선물용으로 좋아서(40.6%)’가 가장 큰 구매 요인으로 꼽혔다.

이는 한국인삼이 원지삼(가공품이 아닌, 삼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보다는 가공품에서 더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홍삼엑기스, 홍삼분말, 홍삼음료, 홍삼캡슐 등 홍삼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 인지도가 높았다.

한국 인삼 구매 의향을 묻는 조사에서는 원지삼에 대해서는 42.2%가 구매하겠다는 의향을 밝힌 반면, 가공품에 대해서는 55.1%가 구매하겠다고 답했다.

반면 고려삼을 구매하지 않는 요인으로는 낮은 브랜드 인지도(25.8%)와 비싼 가격(23.9%)이 꼽혔다.또 중국인들은 고려삼에 대해 품질이 좋고 체력 회복에 좋지만, 몸에 열을 높이는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응답자의 80.9%가 ‘고려삼을 먹으면 코피가 날 수 있다’고 답했고, 84.7%는 ‘고려삼은 여름에 먹어서는 안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홍삼이 인체균형을 맞춰주는 효능이 있어 승열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연구논문과는 다른 인식이다.

aT 관계자는 “한국인삼의 가장 큰 장벽은 매우 낮은 브랜드 인지도로 분석되므로 인지도 제고 및 인지도 확산이 우선과제”라며 “홍삼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한 지속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