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동 ‘현대차發 특수’…한진重·삼성생명 등 ‘희색’
낙찰 금싸라기 한전부지에 ‘GBC’조성
인근 삼성생명 땅값만 3.3㎡당 4억원대
한진重도 원래 가치보다 10배 이상상승
유동부채 상당부분 덜어낼수 있어 반색



현대차그룹이 서울 강남구 삼성동 한전부지의 가치를 10조원 이상으로 끌어올림에 따라 인근에 부동산을 가진 기업들은 희색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덕분에 자산가치가 더 올라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의 일명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와 가장 가까운 노른자 땅은 삼성생명이 2011년 사들인 옛 한국감정원 터(1만988㎡)다. 삼성의 낙찰가는 2328억원으로 땅값만 따지면 7000만원이 채 안된다. 현대차그룹이 사들인 한전부지 땅값 3.3㎡당 4억4000만원을 적용하면 그 가치가 1조4650억원에 달한다. 한전 부지처럼 네모 반듯한 모양이 아니지만 애초에 삼성생명이 사들인 값보다 몇 곱절 그 가치가 오를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오피스빌딩을 지어 임대소득을 거두려고 매입한 땅”이라며 “현재 임시 입주 중인 강남경찰서의 임대기간이 끝나면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GBC 터 바로 아래 부동산을 가진 중에는 한진중공업도 있다. 한진중공업홀딩스 반기보고서를 보면 서울 강남구 삼성동 토지 1722.7㎡를 136억7300만원에 취득했다. 3.3㎡당 2620만원에 사들인 셈이다. 장부상에는 공시지가가 239억원(3.3㎡당 4587만원)이다. 현대차그룹 GBC 덕분에 최소 10배 이상 가치가 올라갈 것이 유력하다. 적당한 때 자산재평가를 하거나, 매각한다면 상반기말 기준 유동부채 4789억원 가운데 상당부분을 덜어낼 수 있는 정도의 차익을 거둘 수 있을 전망이다.

고민에 빠질 곳도 있다. GS건설이다.

GS건설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삼성동 소재 인터컨티넨탈호텔 등을 소유한 파르나스호텔 지분 매각 작업을 벌이고 있다. 최근 사모펀드인 IMM PE를 우선협상대상자로까지 정했다. 문제는 당초 7000억~8000억원으로 예상됐던 지분 가치가 현대차그룹의 GBC 때문에 올라갈 가능성이 생겼다는 점이다. 실제 허창수 GS그룹 회장 등 GS건설 대주주들은 파르나스호텔에 대한 미련과 애착 때문에 최종 매각결정을 미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그룹이 GBC를 짓게 되면 인근 특급호텔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이밖에 대웅제약도 인근 봉은사로 114길에 사옥을 갖고 있는 등 적잖은 중견ㆍ중소기업들이 인근에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기업은 아니지만 서울시도 수혜가 크다. 한전 부지 기부체납과 취득세 수입이 확보된 데다, 내달 중 시작할 서울의료원 부지 일부 매각에도 흥행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매각예정 부지는 2만2650㎡규모로 한전 부지의 약 30%에 달한다. 삼성생명의 한국감정원 터와도 맞붙어 있다.

홍길용 기자/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