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포스트 임영록’ KB號 미래에 쏠린 눈
회장 · 은행장 겸직 가능성 솔솔
낙하산 인사 · 파벌싸움 해소 주목
LIG손보 인수 리딩뱅크 탈환 관심



자의든 타의든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의 퇴진이 기정사실화된 가운데 ‘포스트 임영록’ 시대의 KB금융그룹이 관심이다. 누가 수장에 오를지, 반복된 회장과 은행장 간 갈등이 해소될지, 리딩뱅크의 위상을 복원할지 등이 주요 관심사다.

다만 골이 패일대로 패인 내부 갈등을 봉합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는데다, 최고경영자(CEO) 공백이 불가피해지면서 중요 의사결정이 지체될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이번 KB 사태에서 낙하산 인사의 폐해가 고스란히 드러나, 낙하산 외 강력한 카리스마의 CEO를 금융권에서 찾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아울러 회장과 행장의 동반 퇴진 후 고질적인 조직내 ‘줄서기’를 바로잡는 차원에서 일정부분 인사도 예상된다.


금융권은 KB 내분 사태의 주요 원인을 낙하산 인사의 기싸움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KB 사태가 지배구조의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신한금융은 회장과 행장간의 다툼을 계기로 CEO 선출 과정을 다듬으며 지배구조를 안정시켰다.

임 회장이 사퇴하면 KB금융은 사외이사로 구성된 회장후보추천위원회를 가동해야 한다. 그러나 회추위가 누구의 통제 아래 어떤 절차를 통해 회장 후보를 선임하는지 정해진 게 없다. 더욱이 사외이사들은 KB금융 이사회 멤버인데, 이들은 그동안 경영진을 견제하지도 갈등을 중재하지도 못했다. 거수기로 전락한지 오래다. CEO와 짬짜미가 이뤄지기도 한다.

또다른 문제점은 회장과 은행장 간 역할 분담이다. KB금융그룹의 수익 대부분은 은행에서 나온다. 행장의 권한이 막강할 수 밖에 없다. 김동원 고려대 초빙교수는 “금융지주의 경우 CEO가 은행장에서 지주 회장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지배구조가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갈등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회장의 은행장 겸직 가능성이 흘러나오고 있다.


김 교수는 “금융회사가 CEO 리스크로 혼란에 빠지면서 부실이 발생하면, 하나의 금융회사가 문을 닫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금융시스템에 이어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발표한 ‘금융회사 지배구조 선진화 방안’을 통해 지배구조 개선을 추진했다. 당국은 금융회사에 ▷지배구조 정책 수립 등 이사회 역할 명문화 ▷CEO 승계 원칙 수립과 공시 의무화 ▷집행위원회가 주요 의사결정 담당 ▷매년 이사회 재평가 실시 등을 권고했다.

이제 KB의 차기 회장과 은행장에 누가 오를지 관심이 집중된다. 재무관료 출신의 임 회장과 금융연구원 출신의 이건호 전 행장이 갈등을 일으킨 만큼 ‘모피아’나 ‘연피아’는 배제될 수밖에 없다. 특히 이들의 밥그릇 싸움은 끊임없이 되풀이됐다. 결국 내부 출신이나 베테랑 금융권 인사로 눈이 돌려지고 있다.

KB금융의 파벌싸움이 해소될지도 관심이 집중된다. 이 회사의 파벌싸움은 금융권에서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KB가 덩치만 컸지, 파벌싸움만 하면서 선진 금융문화를 받아들이지 못했다”고 혹평했다.

금융권은 경영진 공백 사태를 맞은 KB금융의 첫 시험대로 LIG손해보험의 성공적인 인수 여부를 꼽고 있다. 은행 쏠림 현상을 극복하고 리딩뱅크로 재도약하기 위해 LIG손보의 계열사 편입이 절대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배구조가 흔들리면 위험관리나 대응전략을 제대로 추진하기 어렵다”면서 “지속적인 성장은 물론 존속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조동석ㆍ신소연 기자/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