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창조경제혁신센터 영속적 체계돼야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15일 대구에서 첫발을 내디뎠다. 박 대통령이 자신의 정치적 고향 이자 새누리당의 성지(聖地)인 대구를 창조경제의 발원지로 선택한 것은 의미가 크다. 박근혜 정부의 ‘트레이드 마크’가 돼 버린 창조경제를 반드시 성공시켜 한국경제의 활로를 열겠다는 다짐으로 읽힌다. 창조경제는 그동안 “너무 모호해 손에 잡히는 구체성이 없다”는 혹평에 시달려왔다. 실제 정부도 세부 실천 방안이나 액션플랜를 제대로 내놓지 못한 게 사실이다.

창조경제가 전국 17개 시ㆍ도에 들어서는 창조혁신센터의 본격 가동이라는 형식으로 방향을 잡은 건 지금까지의 모호성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듯하다. 이 모델은 구글이 운영하는 ‘구글 캠퍼스’의 한국판이다. 굴지의 대기업들이 아이디어 밖에 없는 창업기업을 전담 지원토록 해 실질적인 창조경제의 작품이 나오게끔 한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대구지역 벤처기업의 멘토링 역할을 맡게 된 삼성은 현재 미국 실리콘밸리와 뉴욕에서 운영 중인 ‘오픈이노베이션 센터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도입해 벤처기업의 자금 유치 및 해외진출을 지원하게 된다.

대기업-정부-벤처ㆍ중소기업이 3각 편대를 이루는 혁신센터는 그동안 인터넷ㆍ게임 분야에 국한됐던 벤처 신화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이어서 긍정적이다. 벤처는 혁신에 강하고 대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 강한 만큼 잘만하면 지금까지의 선진국 모방과 추격의 산업구조를 창조와 혁신 선도 구조로 전환시키는 상생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대 만큼 우려도 크다. 역대 정권들이 대기업과 공공기관의 등을 떠밀어 시도했던 기업도시나 혁신도시가 이렇다할 성과를 내놓지 못한 것을 봐온 경험칙 때문이다. 정부가 현대차는 광주, SK는 대전 식으로 센터를 지원할 대기업들을 해당 기업의 주력분야와 지역연고 등을 감안해 선정한다지만 ‘인위적 모양새 갖추기’라는 인상도 짙다. 벤처기업의 혁신적 기술은 지역을 초월하는 만큼 전국적 네트워크의 원활한 가동이 보완돼야 할 것이다. 혁신센터의 지배구조도 민간위주로 구성해 정권에 관계없이 지속성을 갖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처럼 정권이 바뀌면 바로 용도폐기되는 폐단이 반복돼서는 안된다. 창조경제는 한국경제의 명운이 걸려있는 국가적 과제인 만큼 일개 정부만의 전유물 일 수 없다. 우리나라의 미래 경쟁력을 담보할 초석을 놓는다는 장기적 시각으로 접근해 주기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