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슈퍼리치-이슈]‘돈에다 인기까지’, 억수로 복받은 억만장자 누구?
[특별취재팀=양영경 인턴기자]억만장자계에도 ‘엄친아’는 따로 있다. 돈도 많은데 인기까지 많으면서 다른 부호들의 부러움을 한껏 사고 있는 사람들이다. 돈으로는 뭐든 살 수 있는 억만장자들에게 인기는 단연 차별화 요소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여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돈과 인기,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부호에는 누가 있을까. 

하워드 슐츠

스타벅스 창업자인 하워드 슐츠(Howard D. Schultz)는 커피 문화의 중심에 스타벅스가 떠오르면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하지만 그가 본격적으로 인기를 얻게 된 것은 책 ‘온워드(Onward)’을 내면서다. 그에겐 역전 스토리가 있었다. 빈민가에서 태어나 신문배달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이어가던 그가, 세계 최고의 커피 브랜드를 만들었다.
‘고객의 영혼을 고취하고 자양분을 공급하는 기업이 되겠다’는 확고한 비전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인 또 다른 부분이다. 마음과 영혼까지 담아 커피를 팔겠다는 기업은 없었다. 슐츠의 인기는 강연을 열 때마다 구름처럼 몰려드는 방청객들이 증명한다.
  인기는 직원들의 지지도에서도 나타난다. 미국의 한 구직 사이트에서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사 경영자 평가를 진행한 결과, 93%의 지지율을 얻었다.
슐츠의 인기는 사람 중심의 경영이 큰 역할을 했다. 고객을 만족시키기 전에 먼저 직원들의 기대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일명 ‘직원 최우선주의’다. 회사로부터 존중받는 직원들은 애사심을 갖게 되고, 이것이 결국 서비스의 질을 높인다는 생각에서다.
이런 철학은 스타벅스 기업 문화에 잘 녹아있다. 스타벅스에서 직원을 부르는 호칭은 ‘파트너’다.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이란 의미다. 또한 스타벅스는 지난 40년 간 광고비보다 사원교육에 더 많은 돈을 들였다. 지난 6월, 약 13만 명의 파트너에게 1인당 3만 달러의 대학 학비를 지원한다는 계획이 대표적 사례다. 

마크 저커버그

래리 페이지

자사 직원들은 물론 일반 대중의 인기를 한 몸에 받고 있는 또 다른 억만장자로는 페이스북의 마크 저커버크(Mark Zuckerberg)와 구글의 래리페이지(Larry Page)가 있다. 직원들에게 20가지의 무료 뷔페 식사와 사내 운동·오락·각종 편의시설 등 최상의 근로 여건을 제공하면서 지지율 93%를 받았다.
좋은 복지만이 인기요인의 전부는 아니다. 특별한 기업 문화는 저커버그와 페이지의 혁신성과 창조성을 드러내는 일부에 불과하다. 직원들은 두 IT 거물의 상징격인 혁신과 창조의 비전을 공유하고 싶어 한다. 일반 대중이 그들을 주목하는 이유와 같다. 

샤오미 레이쥔


팬클럽의 존재로 인기를 과시하는 슈퍼리치도 있다. 샤오미 레이쥔(雷軍) 회장에게는 ‘미펀(米粉)’이라는 든든한 지원군이 있다. 미펀은 샤오미의 팬이라는 뜻이다. 인터넷 상에서 900만 명에 이르는 이들은 샤오미 제품은 물론 레이쥔 회장의 홍보대사를 자청한다.
  이 팬클럽은 레이쥔 회장의 손에서 탄생했다. 중국 각지에 팬클럽을 만들고, 다양한 이벤트로 결속력을 높였다. 단순히 인기를 얻기 위한 목적은 아니다. 샤오미의 경영 철학과 관련 깊다. 연예인과 팬클럽의 관계처럼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파트너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실제로 팬클럽에서 오는 피드백을 경영과 제품에 적극 반영하는 레이쥔 회장의 행보 때문에 일반팬들도 열성팬으로 변한다고 한다. 

셰이크 만수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최근 연예인급 주목을 받고 있는 부호도 있다. 아랍에미리트연합 아부다비국 왕자이자 국제 석유투자회사 사장인 셰이크 만수르 빈 자예드 알 나얀(Sheikh Mansour Bin Zayed Al Nahyan)이 주인공이다. 물론 다른 국가에서도 인기가 높다.
특히 그의 이름이 떠오른 것은 만수르가 영국의 맨체스터 시티 FC의 구단주가 되면서다. 경기장으로 오는 팬들의 교통 불편을 해소할 목적으로 모노레일을 설치하고, 경기관람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경기장 내 전 좌석을 히팅 좌석으로 바꾼 것은 ‘업적’이라 이야기할 수 있다. 이밖에도 오페라 하우스, 콘서트 홀, 카지노, 호텔 등의 건설로 맨체스터 시티를 하나의 문화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더욱 관심을 받았다.
부를 바탕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내는 만수르에 사람들은 실현 불가능한 것도 실현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가지게 된다. 사람들이 그를 계속 주목하는 이유다.

happyda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