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일러 6자 특사 “뉴욕채널서 북 억류자 문제 풀 것”
[헤럴드경제 =원호연 기자]미국이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문제를 해결해야 북미관계가 진전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시드니 사일러 신임 미국 6자회담 특사는 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오찬 강연에서 “북한 억류자 문제가 북·미관계의 걸림돌”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평양주재 스웨덴 대사관을 통한 영사적 접촉은 물론 (대북 외교교섭 창구인) ‘뉴욕채널’을 통해 외교적 노력을 펴고 있다”며 “북한이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행동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그동안 로버트 킹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를 통해 억류자 문제를 다뤄왔다. 북미 직접 대화 창구인 뉴욕채널을 언급한 것은 억류자 문제를 북미 관계 정상화 등 정치적 사안과 연계할수도 있다는 의미로 해석돼 관심을 모은다. 현재 북미간 뉴욕 채널은 장일훈 주유엔 북한 차석대사와 사일러 특사가 맡고 있다.

북한은 케네스 배 씨를 1년 8개월째, 매튜 토드 밀러와 제프리 에드워드 파울 씨를 5개월째 억류하고 있으며, 미국 국무부는 스웨덴 대사관을 통해 주기적인 영사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는 입장만을 밝혀왔다. 미국은 지난해 두차례에 걸쳐 로버트 킹 국무부 북한 인권특사의 평양 방문을 추진했으나 막판 북한의 초청 철회로 무산된 바 있다.

그는 그러나 “현재로서는 공개할만한 사항이 없다”며 구체적인 교섭상황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또 북한 핵문제에 대해 “북한과의 대화는 가능하지만, 제재도 필요하다”며 “대화와 제재의 투 트랙(dual-track approach) 접근을 꾀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대화 자체에 반대하지 않지만, 비핵화를 목표로 한 진정성 있고 신뢰할 수 있는 협상으로 이어지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사일러 특사는 “미국은 지금까지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당사국 5개국의 비핵화 컨센서스를 북핵문제 접근의 기초로 활용해왔다”며 “만일 북한이 비핵화라는 올바른 선택을 하고 협상으로 복귀한다면 신뢰할 수 있는 대화와 협상 경로가 열릴 것이며 그럴 경우 제재의 적절성도 재고될 수 있다”고 밝혔다.

사일러 특사는 2011년 5월부터 백악관에서 한반도담당 보좌관을 맡아왔으며 이번 주부터 국무부로 자리를 옮겨 북핵과 6자회담 관련 업무를 시작했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