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동 한전 부지, 실수요 목적으로 매입해야”
-서울시 가이드라인 제시한만큼, 상업적 개발 한계 등 전략수정 불가피 분석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서울시가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 개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서 과열 양상을 보이던 매각 과정이 진정 국면에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제교류복합지구’라는 개발 목표를 제시하고 매입가 회수를 위한 상업적 개발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천명한 만큼 매입자들의 전략 수정도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4일 서울시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총 부지 7만9341.8㎡ 가운데 적어도 1만5000㎡(19%) 이상은 국제업무ㆍ전시ㆍ컨벤션ㆍ문화엔터테인먼트(MICE) 공간으로 개발해야 한다.

또 개발 후 미래 가치를 기준으로 전체 부지 면적의 40%에 해당하는 가치를 토지나 기반시설, 비용 등으로 서울시에 기부채납(공공기여)해야 한다. 특히 한전 부지를 고가에 매입한 뒤 수익성 확보를 위해 인허가권자인 서울시와 개발 방향 관련 재협상을 요구하는 데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도 재확인했다.

서울시의 이 같은 방침은 ‘수익 극대화’를 목표로 매각에 뛰어든 일부 대기업에 대한 일종의 경고성 메시지로 풀이된다. 개발 계획에 변화가 없으니 국내 투자자라고 하더라도 상업적 개발을 통해 수익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헛된 기대를 갖지 말라는 것이다.

한전 부지에는 MICE공간이 의무적으로 들어서는 만큼 다른 부지에 비해 수익성이 떨어진다. 서울시 관계자는 “매입자의 개발 방향이 서울시의 계획과 조화를 이루지 않을 경우 각종 인센티브도 줄어들 것”이라면서 “단순 상업 목적으로 부지를 매입하겠다고 생각하면 수익성은 더욱 악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특히 ‘부지 매입 후 신속한 사업 추진’을 언급한 만큼 상업적 개발에 따른 수익성이 없다는 이유로 착공을 하지 않고 태업하는 것도 허용하지 않을 방침이다. 이 관계자는 “한전 부지의 높은 공익성과 낮은 수익성을 감안할 때 상업적 목적보다 실수요 목적의 매입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