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과거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고용질서를 만들어야…”
[헤럴드경제=허연회 기자]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4일 서울시내 한 호텔에서 한국경영자총협회 주요 사장단과 만나 조찬을 하며 “지금은 그동안의 잘못된 관행을 개선하고, 과거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고용질서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인 만큼 기업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SK그룹, LG그룹, 현대ㆍ기아차그룹, 한화, 롯데케미칼 등 주요 기업 사장단과 고위 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간담회는 경총 주관으로 근로시간 단축, 임금체계 개편 등 최근의 노동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이 장관은 “노동시장의 문제를 바로잡고 해법을 모색할 때 법과 제도의 개선도 중요하지만 노사 당사자가 적극 나서서 사회문화를 바꾸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이 장관은 통상임금 확대 여부를 놓고 노사갈등을 겪는 현대차 노사를 향해 원ㆍ하청 간 임금 격차를 줄이고 젊은 층에 일자리를 나눠줄 수 있는 ‘미래지향적 고용생태계’를 구축해달라고 촉구해 왔다.

게다가 이 장관은 현대차 사측을 겨냥해 파업에 따른 눈앞의 손실 때문에 노조의 요구를 손쉽게 들어주는 바람에 그 부담이 2, 3차 하청업체 근로자들에게 전가되고 간접적으로 일하고 싶은 젊은층의 신규채용을 막는다고 지적했다.

이 장관은 이날 조찬 모임에 참석한 기업체 최고경영자(ceo) 및 고위 임원들이 근로시간 단축, 정년연장 등에 따른 기업부담 증가를 우려하자 “휴일근로의 연장근로 포함 문제는 기업 규모 등에 따라 단계별로 적용되도록 추진하고, 설비투자, 신규인력 채용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기업들이 연공급(호봉제) 체계를 완화하고 직무, 능력을 반영하는임금 체계로 개편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재계는 이날 이 장관에게 휴일근로의 연장근로 포함에 따른 기업의 부담 완화 및 제도 연착륙 방안, 임금체계 개편 없는 60세 정년 연장의 부작용에 대한 대책을 촉구했다.

okidok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