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엇갈린 이해관계 속 표정관리 하는 수입車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2021년까지 저탄소차협력금제 시행을 연기하고 하이브리드차 및 전기차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것이란 정부의 발표에 대해 수입차 업계에서도 표정이 엇갈리고 있다.

저탄소차협력금제 시행으로 인해 국산차에 대한 수요가 일부 옮겨올 것으로 기대했던 독일 업체들은 내심 아쉬워하는 모양새다. 국산차 업체들이 상대적으로 탄소 배출량이 많은 대형차 및 가솔린차 중심의 라인업을 갖추고 있어 부담금을 내야 할 것으로 예상됐던 반면, 독일차 업체들은 탄소 배출량이 적어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클린 디젤차 비중이 높았기 때문이다.

BMW 관계자는 “저탄소차협력금제가 기존대로 시행이 됐다면 친환경 엔진 기술 등의 측면에서 앞서있는 독일차 등 수입차가 유리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하지만, 구체적인 시행 시기나 방법 등은 정부 기관 및 관련 업계가 모두 협의를 통해 정하는 것이라 생각한다”며 애써 아쉬운 마음을 감췄다.


그러나 전기차 i3 등 친환경차에 대한 지원 확대에 대해서는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BMW 관계자는 “세제 혜택이나 보조금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현실적인 혜택을 준다면 전기차 저변을 확대하고 업체의 기술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상대적으로 하이브리드차 비중이 높은 일본차는 크게 환영하는 입장이다. 시장의 반응을 예상하긴 쉽지 않지만 디젤차에게 압도당하고 있는 하이브리드차의 점유율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하고 있다.

도요타 관계자는 “보조금 확대 및 세제 혜택을 통해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등 친환경차의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보호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라며 “친환경차 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에 대해 환영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조치가 디젤차를 바탕으로 빠른 속도로 시장점유율을 높여나가고 있는 독일 브랜드에 대한 견제가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한 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저탄소차협력금제도를 실시할 경우 국산차에서 번 돈을 독일차에 주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던 만큼 정부에서는 독일 디젤차에 대한 간접적인 제어도 염두해 뒀을 것”이라며 “여기에 국내 완성차 업체에게는 친환경차 기술 개발을 위한 시간을 벌어주고, 하이브리드차에 집중 중인 일본차 등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업계에게도 혜택을 제공하는 1석 3조의 절묘한 수를 던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수입차 업계에서는 이번 정부의 결정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는 것을 조심스러워하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대형차 및 가솔린차의 비중이 높거나 하이브리드차 부문에 강한 미국 및 일본 업체들은 이번 조치로 수혜를 받게 됐지만 대놓고 환영의 입장을 밝히진 못할 것”이라며 “부처간 ‘파워게임’에서 밀린 모양새가 된 환경부의 심기를 건드려 좋을 것이 없다는 생각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