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외환보유액 14개월만에 뒷걸음질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한국의 외환보유액이 14개월 만에 사상 최대 행진을 멈추고 뒷걸음쳤다.

한국은행은 지난 8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이 3675억3000만달러(약 374조1000억원)로 한 달 전보다 4억9000만달러 감소했다고 3일 밝혔다.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7월 329억7000만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서 올해 7월까지 한 달도 거르지 않고 13개월 연속 증가해왔다.

지난달 외환보유액이 14개월 만에 감소한 데에는 유로화와 파운드화 자산이 환율 변동 때문에 달러화 기준 가치로는 줄어든 영향이 컸다.

8월 중 달러화 대비 유로화 가치는 1.6%, 파운드화 가치는 1.9% 각각 하락했다. 달러화에 대한 유로화 가치는 유럽중앙은행(ECB)이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는 등 적극적 통화완화 정책을 내놓은 지난 6월 5일과 비교하면 3.1%나 떨어졌다.

그러나 올해 들어 증가한 외환보유액은 210억8000만달러 규모로, 작년 연간 증가액(194억9000만달러)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자산 유형별로 보면 8월 말 현재 국내 외환보유액의 91.2%를 차지하는 국채ㆍ회사채 등 유가증권은 3351억8000만달러로 전월보다 4억1000만달러 감소했다.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과 IMF에서 교환성 통화를 수시로 찾을 수 있는 권리인 IMF포지션은 각각 3000만달러, 6000만달러 감소했다. 예치금(217억3000만달러)은 한 달 전보다 1000만달러 늘었다. 금은 전월과 같은 47억9000만달러다.

7월 말 기준으로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7위 수준이다. 6위 브라질(3768억 달러)보다 88억 달러 적다.

외환보유액이 가장 많은 나라는 3조9932억 달러를 보유한 중국이다. 일본(1조2760억달러), 스위스(5495억달러), 러시아(4688억달러), 대만(4237억달러)이 그 뒤를 이었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