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상반기 상장사 매출과 영업이익 동시 악화…삼성전자 위상 하락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상반기 국내 상장사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동시에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가운데 연결재무제표를 제출한 493개사의 올해 상반기 매출액은 906조743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908조829억원)보다 0.15% 줄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8조7506억원으로 11.73% 감소해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상반기 6.08%에서 5.38%로 0.71%포인트 악화됐다. 이는 1000원을 팔아 54원 정도의 이익을 남겼다는 의미다. 순이익은 원화 급등에 따른 외화부채 평가액 감소 등의 영향으로 0.36% 늘어난 37조4754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순이익률은 4.13%로 0.02%포인트 늘었다.

상반기말 부채비율은 130.29%로 작년말보다 0.11%포인트 낮아졌다. 순이익 흑자를 본 기업은 369개(74.9%)였으며 124개사(25.1%)는 적자를 기록했다.

분기별로는 1분기보다 2분기에 수익성이 더 나빠졌다. 2분기 매출액은 453조7314억원으로 1분기보다 0.16%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3조48억원으로 10.65% 줄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은 5.68%에서 5.07%로 0.61%포인트 낮아졌다.

삼성전자는 상반기 이익이 급감하면서 증시에서 차지하는 위상도 다소 낮아졌다. 삼성전자의 상반기 매출액(연결재무제표 기준)은 106조286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3.90% 줄었다. 영업이익은 15조6761억원으로 14.39% 감소했다. 이는 분석대상 상장사 전체 영업이익의 32.16%로, 작년 상반기(33.14%)보다 비중이 줄었다.

삼성전자 다음으로 매출액이 많은 SK와 현대차의 상반기 매출액도 각각 56조2314억원, 44조4016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46%, 0.33% 줄었다. 영업이익도 각각 1조5637억원, 4조256억원으로 28.70%, 5.83%씩 감소했다.

개별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업종별로 실적을 따져보면 전기전자(IT), 철강금속, 기계, 화학 등 8개 업종의 매출이 감소했다. 반면 의료정밀, 의약품, 건설, 전기가스 등 9개 업종의 매출은 증가했다.

순이익은 전기가스와 비금속, 건설 등 흑자전환에 성공한 3개 업종을 포함해 음식료품(39.42%), 유통(35.22%), 섬유의복(31.99%) 등 모두 9개 업종의 흑자폭이 커졌다. 반면 기계(88.83%), 종이목재(38.57%), 의료정밀(21.45%) 등 7개 업종은 순이익이 줄었다. 통신업종은 적자전환했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